라벨이 ㅇ전시 / 공연인 게시물 표시

외규장각 왕의 서고 의궤실

이미지
  왕의 서고書庫 어진 세상을 꿈꾸다 자료/국립 중앙박물관 2011년 프랑스에서 반환되어 온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를  상설전시관 2층 서화관 내에 외규장각 의궤를 위한 전용공간을 마련하여, 의궤 전시실을 조성하여 2024년 11월 15일 공개하고 있어 소개해 봅니다.             왕의 서고(書庫) 어진 세상을 꿈꾸다. 왕의 서고 디지털 의궤 상설전시실 2층 서화실 초입에 왕의 서고(書庫)를 실제처럼 디지털로 화려하게 꾸며놓은 외규장각 전시실 숙종 인현왕후 가례도감으로 보는 조선 국왕의 혼례의궤 중  숙종임금의 왕세자시절 첫 번째 결혼과정을 기록한 의궤입니다. 숙종임금의 두 번째 결혼과정을 기록한 의궤입니다. 숙종임금의 세 번째 결혼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왕세자시절의 결혼과, 국왕의 결혼은 절차는 비슷하지만 인력 및 예산비용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가례를 3번 치른 도감이 남아있는 것은 숙종임금 한 분뿐이라고 합니다. 조선왕실의 위엄, 만세의 모범 장렬왕후 존숭도감의궤(莊烈王后尊崇都監儀軌) 가장 귀한책 외규장각 의궤 조선왕실의 의궤 왕실의 장례 흉례 장엄한 왕실의 장례인, 흉례(凶禮)는 유교 오례(五禮)의 하나로, 상장(喪葬)에 관한 국가의례로, 오례(五禮)는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를 말하며, 그중 까다로운 내용과 방대한 분량의 의례가 흉례(凶禮)라고 합니다.   숙종의 시신을 모신 빈전의 일을 기록한 의궤 숙종의 장례를 기록한 의궤 숙종의 왕릉을 조성하고 시신을 안장한 일을 기록한 의궤 디지털로 의궤내용을 검색하고 내용을 볼 수 있는 디지털서고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 자료 서적     디지털로 검색해 보는 의궤 어람용 의궤 도설 아카이브 영상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奎章閣)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실의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는 1866년 병인양요(...

서울도시모형 실감영상

이미지
서울도시모형 실감영상 서울 역사박물관 도시모형 영상관 도시모형 영상관은  605.25㎢의 서울을 1/1500으로 축소한 가로 21.5m 세로14.5m 의 대형기술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시설을 구비한 전시 공간으로 2009년 개관했습니다.     실감영상관 영상관의 한강 남쪽 모형은 유리 위를 걸어 다니면서 모형을 감상할 수 있으며, 2층 다리에서는 모형전체를 내려다볼 수있게 설치되어 있습니다. 서울시내 일부 노원구, 강북구 일대 등 강북 지역과 강남구, 강동구 등 강남 지역은 관람 통로 확보를 위해 부득이 제이 되었다고 합니다.  살감영상관 서울시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모형에서 제외된 지역의 주요 시설과  현황을 별도 표기하고 있습니다. 백문이 불여 일견이라 했나요. 실제 가서 관람해 보세요. 불 만한 실감영상입니다. ▲실감영상 서울도시모형

3D실감 금강산에 오르다.

이미지
  금강산에 오르다. 3D 실감 영상/국립 중앙박물관 금강산에 오르다는 정선의 신묘년 풍악 도첩  김하종의 해산 도첩 김홍도의 해동 명산 도첩을 금강산의 사계를 구성 제작한 3D 입체영상물입니다. 금강산은 에로부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승지로 손꼽혀 왔습니다. 신선괴 보살이 사는 신성한곳,이상향을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안식과 에술적 영감을 준 명산이었습니다. 금강산을 유람하고 시와 글, 그림을 남기는 것은 시대를 풍미한 문화현상이었습니다. 금강산에 오르다 개골산 풍경 금강산에 오르다. 봉래산 풍경     금강산에 오르다. 풍악산 풍경 조선 후기에는 금강산의 수많은 절경이 실경산수화로 화첩에 남았습니다. 금강산에 오르다는 정선의 신묘년 풍악 도첩, 김하종의 해산 도첩, 김홍도의 해동명산도첩, 을 바탕으로 금강산의 사계를 3D 영상물로 재구성 제작하였습니다. 백옥같이 우뚝 선 일만 이천 봉우리, 신비한 금강산, 조서시대 사람들 누구나 꿈꿨던 금강산 여행, 지금은 쉽게 갈 수 없는 금강산의 사계를 3D 영상을 보면서 잠시나마 편안한 치유의 시간을 보내 보세요.

실감 3D영상 강산무진도

이미지
  강산무진도江山無盡圖 실감 3D 영상/국립 중앙박물관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3D 영상관에서 매일 상영하는 강산에서 펼친 풍요로운 세상, 강산무진도를 감상해보세요. 강산무진도 조선 후기 화가 이인문이 그린 강산무진도는 길이 8.5m가 넘는 대작으로, 조선시대 정조와 순조 시대를 살았던 이인문은 김홍도와 쌍벽을 이루던 도화서(圖畵署)의 화원이었습니다.  사람들은 배를 띄우고 험준한 산비탈을 오르며 수레와 나귀, 도르래를 이용 물건을 옮겨 산과 강, 마을을 이어 줍니다. 이인문이 그린 강산에는 붉게 물든 풍성한 가을 산천과 기암절벽 속 풍요로운 기와집 마을들이 있습니다.     강 그곳에 360여 명의 사람과 100여 척의 배가 오가고 있습니다.  북적대는 사람들로 마을은 생기가 넘칩니다. 현실 너머 꿈속의 낙원이 아닌, 이 땅에 실현하고 싶었던 조선 후기 사람들의 이상향, 자연과 사람이 힘차게 공존하는 풍요로운 세상이 펼쳐집니다. 수려한 자연 속에 아주 작고 세밀하게 묘사된 사람들의 풍경, 강산무진도 속으로 길을 떠나볼까요?

3D실감영상 신선들의 잔치

이미지
 신선들의 잔치 3D 실감영상/국립 중앙박물관 국립 중앙박물관  3D영상관에서 수요일과, 일요일 상영하는  실감영상 신선들의 잔치 즐겨보세요 신선들의 전치 천상에서 즐기는 잔치 신신들의 잔치 8폭병폭 해상군선도(海上群仙圖)     불보살과 군선들이 바다를 건너는 모습을 그린 요지 연도(瑤池宴圖) "요지"는 중국 신화에서  "서왕모"가 사는 신성한 공간으로, 이곳에서 자라는 복숭아나무는 3천 년에 한 번 열매를 맺는데, 한번 먹으면 장수를 누릴수 있다고 합니다. 장수의 상징인 "삼천갑자 동방삭"도 이곳의 복숭아를 먹고 오랜 수명을 누렸다고 합니다. 복숭아가 열릴 무렵이 되면 "서왕모"는 신선들을 초대해 잔치를 베풉니다. 이때의 잔치 모습을 그린 것을 "요지 연도"라고 합니다. "요지 연도"그림은 조선시대 때 장수를 축원하는 의미로 널리 유행하였다고 합니다. 삶의 바람이 담겨있는 선계의 잔치 속으로 들어가 보세요 ▲3D 실감영상 신선들의 잔치

15세기경 금동 관음보살 좌상 불상

이미지
금동 관음보살 좌상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금동 관음보살 좌상 金銅觀音菩薩坐像 조선초 15세기경 1908년 입수 높이 38.6cm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이 가진 자비의 마음이 예술로 발현되어 성스러운 미(美)의 경지에 도달한 불상이다. 세운 무릎 위에 오른팔을 올리고 왼손으로 바닥을 짚은 자세는 수월관음 모습에서 연유하며, 전륜성왕이 취하는 자세라는 의미로 윤왕좌라 부른다. 역삼각형 얼굴과 가늘고 긴 상체, 원형의 커다란 귀걸이와 온 몸을 휘감은 화려한 장신구는 명나라 영락 연간(1403-1424)불상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2016년 조사에서 조선 15세기와 16세기 두 차례 복장물이 납입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조선 전기 직물 편 일부와 "인삼" 등 한글이 이 표기된 포장 종이 등도 함께 발견되었다.

청계천 박물관 기획전시 기계공구상가

이미지
붕어빵틀에서 인공위성까지   청계천 기계공구상가 청계천에서는 탱크나 인공위성도 만들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청계천은 세운상가를 축으로 좌우에 자리한 장사동, 산림동, 입정동의 긱켸공구상가이다. 이곳은 70여 년 전부터 미군부대의 물건들과 일제 중고 공구들의 거래가 있었다. 상거래가 확장되면서 지금은 도. 소매를 망라하고, 비슷한 업종이 뭉쳐하니의 공정 유기체를 형성하고 있다.  청계천 박물관 청계천의 역사와 한께하는 박물관 기계공구상가 기획전시 80년대 천계천의 장인들이 만든 88 올림픽 배지는 박물관의 유물이 되었고, 어느 청년의 인공위성을 향한 상상력은 현실이 되어 우주로 날아갈 수 있었다, 청계천 기계공구상가 청계천 박물관 기획전시는 우리의 일살 속 물건에서 최첨단 기계까지 만들어낸 도심 속 소상공인의 힘을 기록한, 서울에 숨겨진 공간, 청계천 기계공구상가의 놀라운 성과들을 함께 느껴 보는 전시이다. 청게천 공구상가 골목 공구상가 구역 청계천 기계공구상가는 장사동의 전기전자 골목, 입정동, 산림동은 청계천 쪽에 가까운 곳으로 종로대로 쪽에서 안쪽에 위치하며, 금속의 정밀가공, 주물, 목형, 칠 공장 등이 위치하고 있다. 경인빠우 기계공구 상가에서 보이는 용어는 주로 일본어나 일본식 외래어 표현이 한국식으로 약간 변형된 것 들이 많다. 여기의 빠우(Buff) 는 금속표면을 연마할 때 사용하는 천 또는 해당 작업 그 제체를 일컫는다. 세원정밀 대성정밀 밀링선반 이것만 있으면 무엇이든 연마하여 만들어 낼  수가 있었다. 붕어빵틀에서 인공위성까지 붕어빵틀  인공위성 장비 세운상가와 공구 기계상가 청계천에서는 일상적인 것에서부터 첨단 시제품까지 제작이 가능하다. 붕어빵 틀과 인공위성은 청계천 기계공구상가의 넓은 제작 스펙트럼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