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ㅇ천연기념물/노거수인 게시물 표시

종로소격동 보호수 비술나무

이미지
  비술나무 종로 소격동 보호수  고유번호 서1-23, 서1-24, 서1-25 종로구 소격동(국립 현대미술관 서울관) 앞에 있는 수령180년된 비술나무는 1996년 보호수로 지정 보호받고 있는 수종입니다. 비술나무는 한국 중부이북지방, 중국, 몽골, 극동러시아에 자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영월, 정선, 평창등지에 분포되어있는 수종으로 입니다. 비술나무 비술나무는 함경도 지방 방언으로, 다른 이름은 비슬나무로 부르는 이는 연변지방 방언입니다. 함경도 사투리로 닭류의 조류 볏을 비슬이라고 부르는데, 비술나무의 꽃 모양새가 비슬 과 같다 하여 비술나무로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는 꽃의 잎이 닭벼슬, 혹은 새의 벼슬처럼 생겨 벼술나무에서 비술나무로 변하게 되었다고도 합니다. 우람한 비술나무 3형제     소격동 비술나무3형제 보호수지정일: 1996.08.10일 수고: 17~19m 둘레:190~240cm 비술나무 영문: Siberian elm 학명: Ulmus pumila L. 분류: 느릅나무과 Ulmaceae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능수형) 개화기: 3월에 꽃은 양성으로서 잎보다 먼저 피며 취산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수술도 4~5개이고 씨방은 납작하고 암술대는 2개입니다.

종로 수송동 천연기념물 제9호 백송

이미지
흰 소나무 백송(白松) Lace-bark Pine, 백년해로를 뜻하는 백송 천연기념물 제9호 수송동 백송(白松) 수종: 백송(白松) 희귀 수종 수령: 약 600년 높이: 14m 백송(白松) 종로 견지동 조계사 경내 대웅전 앞에 우뚝 서있는 흰 소나ㅣ무 백송(白松) 백송(白松) 백송 (白松) 백송 (白松) 소나무과에 속한 상록 침엽 교목 수피(樹皮)는 밋밋하나 자라면서 점차 큰 비늘 조각처럼, 벗겨지고 회백색을 띠기 때문에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松)이라 부르게 되었다..  중국이 원산인 백송이 언제 한국에 들어왔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다만 서울 종로 경지동에 있는 백송의 수령이 약 600년 된 것으로 보아 그 무렵에 중국에서 들여와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특산으로, 희귀 수종. 가지가 크며 수관은 둥글게 발달한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긴 타원형이며 암꽃은 달걀 모양을 하고 있다.

하얀색의 수피 백송

이미지
  백송(白松) 소나무 종류 중 수피가 하얀색인 것 이 특징이다. 백송은 어릴 때는 초록빛이 들어간 푸른빛이다가 나이를 먹으면서 차츰 흰 얼룩무늬가 많아진다. 백송 백송 백송 백송 백송은 중국 베이징이 부근이 원산지로 조선시대 사신으로 간 관리들이 귀국할 때 솔방울을 가져다 심은 것이 퍼지게 되었다. 서울 재동의 헌법재판소에 있는 재동 백송,  조계사 대웅전 앞에 있는 조계사 백송, 고양 송포 백송, 예산 용궁리 백송, 이천 신대리 백송 등은 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받고 있다.

양주향교 느티나무 보호수

이미지
 양주향교 노거수 느티나무 양주향교앞 느티나무 양주시 부흥로 1423번 길 50 수령: 510년, 보호수 지정일: 1982년 10월 15일 양주향교 앞 보호수 예전에는 이마을에 향교가 있어 향교말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곳에 세워진 향교는 공자를 비롯 중국의 오성위 와 송조 2현과 함께 우리나라 18현의 위폐를 봉안한 지방 분묘로, 유현의 강론장으로 조선 태종 원년인 1401년 창건한 향교이다.  보호수 느티나무 수고 12m, 직경 5.5m 향교 앞 느티나무는 많은 유학자를 배출한 지방교육기관인 양주향교 앞뜰에 식재한 느타나무로 당시 학동들이 오가는 길목에 있어 학동의 쉼터이자. 놀이터였다.  

공룡, 익룡 발자국 화석산지 천연기념물로 지정

이미지
백악기 공룡. 익룡 발자국 화석산지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자료출처/ 문화재청 "진주 정촌면 백악기 공룡, 익룡 발자국 화석산지"는  중생대 백악기 공룡과 익룡을 비롯한 당시 고생물 약 1만여 개의 다양한 발자국 화석이 대거 발견된 곳으로, 단일 화석산지로는 높은 밀집도와 다양성을 보인다. 이곳에서 발견된 이족 보행하는 7,000여 개의 공룡 발자국은 육식 공룡의 집단 보행렬로 세계적으로도 매우 희귀한 사례다. 국내의 많은 공룡 발자국 화석산지에서도 육식 공룡 발자국은 드물게 발견되며 이곳의 육식 공룡 발자국은 2cm 남짓한 아주 작은 크기의 발자국에서부터 50cm가량 되는 대형 육식 공룡 발자국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뒷발의 크기가 1m에 이르는 대형 용각류 공룡의 발자국과 익룡, 악어, 거북 등 다양한 파충류의 발자국이 여러 층에 걸쳐 함께 발견된다.  이 화석산지는 발자국의 밀집도나 다양성, 학술적 가치 측면에서 여타 다른 나라의 많은 공룡 발자국 화석산지에 비해 양적, 질적 측면에서 독보적인 사례로 천연기념물로써 손색이 없다.  공룡, 익룡 발자국     공룡, 익룡 발자국 단일 지역에서 공룡과 익룡의 발자국 화석을 비롯, 다양한 척추동물의 발자국 화석들이 밀집되어 산출된 드문 사례로 우리나라 백악기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을 대표할만한 산지임으로, 지정가치가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천연기념물 해제된 영휘원 산사나무

이미지
영휘원 산사나무 서울시 청량리동 홍릉 천연기념물 지정 해제 서울 청량리동 홍릉 영휘원 앞에 있는 "천연기념물 506호" 이었으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 3년 민에 관리 소홀로 아쉽게 천연기념물 지정이 취소되었다. 고사목 산사나무 고사목(枯死木)이 된 홍릉소재 영휘원 산사나무 고사목 산사나무     고사목 산사나무 고사목 산사나무 천연기념물 제 506호 영휘원 산사나무 209.10.15일 지정 천연기념물 해제사유 : 2012년 태풍 볼라벤 강풍 피해 및 생리적 노쇠 등에 의한 복합적인 원인으로 고사(枯死)되어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특산식물 취약종 모감주나무

이미지
 모감주  Goldenrain rree 특산식물, 취약종 모감주나무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취양종으로 분류되어 있는 나무로, 불교와 인연이 깊은 나무다. 가을에 꽈리같이 열리는 열매의 씨로 염주를 만들어 염주나무로도 불린다. 완도의 대문리 모감주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428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해안을 따라 1.0km 정도에 470여 그루의 모감주 나무 군락지가 있다. 또한 안면도의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138호, 포항 발산리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371호로 지정되어있다. 가을에 꽈리같은 열매를 맺는  모감주나무 모감주 꽃말: 기다림, 자유로운 마음 학   명: Koelreuteria paniculate Laxmann 분   류: 무환자나무 과 Sapindaceae 형   태: 낙엽활엽 소교목 원산지: 한국     양지바른곳에서 잘자라는 모감주나무 모감주 모감주나무는 온대지방의 양지바른 곳에서 20여 m까지 자라는 키 큰 나무로 유월부터 노란색의 꽃이 원추 꽃차례의 가지에 수상(穗狀)으로 달린다.

보호수 졸참나무와 당숲

이미지
  졸참나무와 당숲 천연기념물 된다. 자료출처/문화재정 경북 영양군 수비면 송하리(松下里) 마을은 뒷산에 숲이 울창하고 앞으로 큰 개울이 흐르는 살기 좋고 아름다운 곳으로 마을 남쪽 보건진료소에서 송하교를 건너면 매봉산(해발 650m)이라는 나지막한 산이 있다.  졸참나무숲/문화재청 매봉산 등산로 입구에서 만나게 되는 졸참나무는 나무의 높이 22m, 나무의 나이 250년(추정), 수관폭 20m 등으로 다른 천연기념물 굴참나무와 비교해도 규모 면에서 손색이 없으며, 생육상태가 좋고 수형이 아름답다. 또한, 졸참나무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사례가 없어 희소성이 있다. 졸참나무/문화재청 졸참나무는 가슴높이 지름 1.3m, 나무 높이 22m의 크기를 갖췄으며 나무로 향하는 오솔길 양쪽에는 당집과 함께 소나무, 느티나무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이룬 당숲이 있다.     당숲에는 평균 가슴높이 지름 0.45m, 평균 나무 높이 13m 내외의 소나무, 느티나무, 말채나무 등의 66주가 당집 주변으로 자연스럽게 분포하고 있는데, 북쪽 구릉지에 62주가 있으며 남쪽에는 졸참나무와 함께 느티나무 2주와 말채나무 1주가 있다.  당숲/문화재청 당숲은 경관적 가치가 크며 마을 사람들은 해마다 2번 정월 대보름과 음력 8월 15일 졸참나무에 당산제를 올려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빌고 있다. 당산제는 선조들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는 면에서 학술 가치 또한 크다. 등산로를 따라 매봉산 칠부능선에는 소원을 들어준다고 하는 ‘다들 바위’가 있으며 5km 떨어진 곳에 죽파리 영양 자작나무 숲이 조성되어 있어, 영양 지역의 볼거리로 이름나 있는 곳이다.

사천 백악기나뭇가지피복체 천연기념물지정

이미지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site of carbonate coated wooden branches 자료출처/문화재청 경상남도 사천시 선전리에 있는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 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다. 선전리 해안지역의 중생대 최적층-01 이곳은 선전리 해안지역의 중생대 최적층에 발달한 탄산염 성장체로, 천연기념물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등과 형성과정이 매우 유사하지만 형태와 형성 환경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갖고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퇴적면에서 상부로 성장하여 고화된 엽층리 를 가진 퇴적 성장구조를 말하는데,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는 ‘성장형태’가 아닌 나뭇가지를 핵으로 성장한 원통형(막대형)을 가지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와 같은 유형의 탄산염 퇴적물은 현생의 석회질 포화 호수나 하천 환경에서 드물지 않게 나타나나, 선전리 지역에 발달한 나뭇가지 피복체는 지질 시대의 퇴적층에서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드문 사례로 발달 규모가 크며 보존 상태도 좋다. ※탄산염: 금속산화물이나 수산화물의 고체 또는 수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흡수시켜 생기는 화합물   ㅇ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 생물체(박테리아 및 미세조류)의 활동에 의해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유기 퇴적구조(화석)이다. 선전리 해안지역의 중생대 최적층-02 천연기념물(지질. 광물. 지형) ㅇ지정명칭: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   (泗川 仙田里 白堊紀 나뭇가지 被覆? 産地 /   site of carbonate coated wooden branches) ㅇ소 재 지: 경남 사천시 선전리 산 20번지 공유수면 지선 ㅇ지정 가치  선전리 해안 지역의 진주층 퇴적층에 발달한 이 탄산염 성장체는 스트로마톨라이트의 일반적인 성장 형

천연기념물 개느삼

이미지
 개느삼 콩과에 속한 낙업 활엽 관목으로, 우리나라 고유 종이다.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로, 꽃은 5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열매는 겉에 돌기가 많으며, 7월이 되면 열매는 성숙한다. 전 세계적으로 국내 양구, 인제 등 강원도 북부에만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천연기념물 제372호로 지정된 특산 수종이다.  개느삼-01 개느삼-02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역은  양구읍 한전리와 동면 임당리에 걸쳐있다. 개느삼은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일 뿐만 아니라, 양구 비봉공원 대암산 기슭에 자리 잡은 이곳 양구의 개느삼 자생지는 개느삼이 자랄 수 있는 남방 한계선이 되므로 천연기념물 제372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개느삼-03 개느삼-04 개느삼의 원산지는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식물로, 함경도, 평안도, 강원도 북부지역의 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서 잘 자라며, 척박한 땅에서도 자란다. 봄에 총상 꽃차례는 3~5cm로, 새가지 끝에서 나와 5~6개의 꽃이 달리며 높이 1m까지 자란다. 학 명: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창덕궁 회화나무

이미지
천연기념물 472호 회화나무군 세계유산 조선의 궁궐   창덕궁 돈화문 주변의 회화나무 8그루는 모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나무 크기는 15~16m 정도로, 수령은 300~400년  된 노거수 들이다, 이곳의 회화나무는 1830년 무렵의 그림 동궐도에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때 불에 탄 창덕궁을 재건할 때 심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돈화문 주변은 조정의 관료들이 집무 보는 관청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곳에 회화나무를 많이 심은 것은, 궁궐 안쪽에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를 심고 그 아래에서 삼공(三公) 나랏일을 논하다.라는 중국의 고사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궁궐 외에도 선비들이 모여사는 곳에는 회화나무를 많이 심어, 학자 나무라고도 부른다. 창덕궁 금천교위 노거수 느티나무 한그루가 오랜 세월을 창덕궁과 함께하고 있다.     창경궁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오랜 세월을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뿌리와 줄기가 뒤엉켜 자라고 있다. 그 옛날 정조와 어머니 혜경궁이 살얼음판 같은 궁궐 안에서 서로를 의지하면서 서 있는 모습을 연상케 하고 있다. 창경궁 명정전 외곽 궐내곽사 터 있는 이 회화나무는 영조 38년 뒤주 속에서 갇혀 죽은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역사를 함께한 나무로, 사도세자의 비명소리를 듣고 너무 가슴이 아파 줄기가 비틀어지고 속은 비어있는 것은 아닌지~~ 이 느티나무는 그 시절의 산증인이다. 궐내각사터 비틀어진 회화나무 명정전 앞뜰의 노거수 회화나무

종로 조계사 백송

이미지
천연기념물 제9호 종로 수송동 조계사 백송(白松) Lace_bark pine 종로 수송동 조계사 경내에 있는 희귀 수종, 흰 소나무 백송은 2009년 09월 16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수송동 백송(白松) 수령 600년 높이 약 14.0m     조선의 궁궐 창경궁(昌慶宮) 백송(白松) 백송의 꽃말은 백년해로이며,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이다. 수피가 회백색을 띠고있어 백송 또는 백골송 이라 부르는 희귀 수종이다.  백송의 원산지는 중국으로, 우리나라에 언제 들여왔는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중국의 특산식물로, 희귀 수종으로 가꾸고 있는 나무이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수꽃은 긴 타원형이며, 암꽃은 달걀 모양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