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스투파의 숲 인도이야기

이미지
  스투파의 숲 비밀스러운 인도이야기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과 함께 준비한 이번 전시에는 뉴델리국립박물관 등 인도 12개 박물관의 소장품 61점을 비롯, 영국박물관, 빅토리아 앤 알버트 박물관, 독일 아시아예술박물관, 그리고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등 4개국 18개 기관의 소장품 총 97점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21세기 들어 새로이 조사된 파니기리(Phanigiri, Telangana) 유적의 출토품을 포함,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남인도 불교미술품을 만나보세요. 남인도에는 인도 고유의 문화와 불교가 어우러진 세계, 신비의 숲 스투파의 숲이 존재했습니다. 시티바하나의 왕과 그의 시종들 인도 남부 크리슈나강 유역 사타바하나 왕조의 수도였던 아마라바티에서 발견된 석판으로, 1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석회암 조각으로, 영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물이 가득찬 풍요의 항아리 보물을 쏟아내는 연못과 끝없이 이어지는 연못 "보물을 쏟아내는 연못"과 "끝없이 이어지는 연못"은 기원전 2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인도의 알라하바드박물관과 뉴델리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들 작품은 자연의 정령이 불교가 전해지면서 스투파 장식의 조각으로 등장해 불교의 성지인 스투파를 둘러싼 숲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풍요의 신 락슈미  락슈미는 행운과 번영을 상징하는 인도 신화의 여신으로, 보통 "가자 락슈미"의 모습으로 그려지며,  락슈미는 풍만한 몸매를 드러낸 아름다운 여인의 조각상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이는 여성의 출산과 풍요로움을 상징합니다.     스투파를 지키는 마카라  마카라는 전설 속의 동물로, 악어의 주둥이에 코끼리의 코, 달팽이처럼 말린 꼬리를 지닌 모습을 하고 있으며, 스투파의 입구를 지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스투파를 지키는 전설속의 동물 스투파의 숲 전시실 다양한 얼굴의 소라모자를 쓴 약샤(Yaksa) 인도 신화에서 풍요

세균과 바이러스

이미지
  세균과 바이러스 Bactria and Viruses 세균은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주요 종류를 알아봅니다. 1) germ음성균과 germ양성균: 세포벽의 형태에 따라 구분하는데, 세균의 세포벽의 주요 구성물질로써 당과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중합체입니다. 2) 구균(Coccus): 둥근 모양을 한 세균으로, 단구균, 쌍구균, 팛련구군등이 있습니다. 3) 간균 (Bacillus): 긴 막대 모양을 한 세균으로, 간균의 형태로는 방추간균, 콤마간균 등이 있습니다. 4) 표피포도상구균: 우리 몸에서 가장 흔하게 서식하며, 요즘은 균주들이 내성이 생겨 중추신경계 감염 또는 패혈증 등을 유발하도 합니다. 5) 황색포도상구균: 사람 피부, 코 안 표면, 가축 등에 살고 있으며, 식중독을 일으키는 내열성 외 독소를 생성합니다. 6) 연쇄상구균: 이 세포는 chain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양성 구균입니다. 세균은 다양한 환경에서 존재하고 있는데, 자연에서 생성된 부산물을 작게 분해하여 다시 자연으로 되돌아가게 돕는 역할을 하는데, 수많은 세균 중에 병을 일으키는 세균을 알아봅니다. 대장균(E-Coli) 사람의 장 속에서 사는 장내 세균으로, 장 외의 부위에 감염등 질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부패된 식품, 위생불결등에서 식중독이 발생하게 되는데 설사, 구토, 복통증세를 일으키게 됩니다.     임질구균(Neissria gonococcus) 임균은 주로 성적인 접촉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Clostridioides difficile)  장염세균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항생제 내성균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결핵을 일으키는 원인균 버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1980년대  낭포성 섬유증 환자에게 심각한 전염성 폐 감염의 원인균으로 등장한 세균 페스트균(Yersinia pestis) 동양 쥐벼룩(Xenopsyll

산청 매촌리 고인돌 복원전시

이미지
산청 매촌리 고인돌 국립 중앙박물관 이 고인돌 유적지는 경남 산청군 금서면 매촌리 952에 위치하며, 우리 문화재연구원에 의해 2008년 10월 07일~ 2009년 03월 31까지 발굴조사 되었습니다. 조사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은 산청군과 발굴조사 안의 협조를 받아 이곳 위치로 이전 복원하여 관람객들이 전시실 내에서 체험하기 어려운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습니다. 국립증앙박물관에 복원해놓은 산청 매촌리 고인돌 고인돌 Map 보통 고인돌들은 하나의 무덥방 위에 큰 상석을 올려놓은 것이지만 이 유적지에서는 남부지역에서 유행했던 이른바 묘역식 고인돌이 확인되었습니다. 이것은 무덤방을 둘 싸듯이 돌을 아 전체가 원형이 장방형의 모양으로 된 것을 말하며, 시기는 기원전 5~4세기경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