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규장각 왕의 서고 의궤실

이미지
  왕의 서고書庫 어진 세상을 꿈꾸다 자료/국립 중앙박물관 2011년 프랑스에서 반환되어 온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를  상설전시관 2층 서화관 내에 외규장각 의궤를 위한 전용공간을 마련하여, 의궤 전시실을 조성하여 2024년 11월 15일 공개하고 있어 소개해 봅니다.             왕의 서고(書庫) 어진 세상을 꿈꾸다. 왕의 서고 디지털 의궤 상설전시실 2층 서화실 초입에 왕의 서고(書庫)를 실제처럼 디지털로 화려하게 꾸며놓은 외규장각 전시실 숙종 인현왕후 가례도감으로 보는 조선 국왕의 혼례의궤 중  숙종임금의 왕세자시절 첫 번째 결혼과정을 기록한 의궤입니다. 숙종임금의 두 번째 결혼과정을 기록한 의궤입니다. 숙종임금의 세 번째 결혼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왕세자시절의 결혼과, 국왕의 결혼은 절차는 비슷하지만 인력 및 예산비용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가례를 3번 치른 도감이 남아있는 것은 숙종임금 한 분뿐이라고 합니다. 조선왕실의 위엄, 만세의 모범 장렬왕후 존숭도감의궤(莊烈王后尊崇都監儀軌) 가장 귀한책 외규장각 의궤 조선왕실의 의궤 왕실의 장례 흉례 장엄한 왕실의 장례인, 흉례(凶禮)는 유교 오례(五禮)의 하나로, 상장(喪葬)에 관한 국가의례로, 오례(五禮)는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를 말하며, 그중 까다로운 내용과 방대한 분량의 의례가 흉례(凶禮)라고 합니다.   숙종의 시신을 모신 빈전의 일을 기록한 의궤 숙종의 장례를 기록한 의궤 숙종의 왕릉을 조성하고 시신을 안장한 일을 기록한 의궤 디지털로 의궤내용을 검색하고 내용을 볼 수 있는 디지털서고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 자료 서적     디지털로 검색해 보는 의궤 어람용 의궤 도설 아카이브 영상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奎章閣)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실의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는 1866년 병인양요(...

불설 대 부모 은중경 경전

이미지
 불설 대 부모 은중경 경전 (佛說大報父母恩重經) 자료/국립 중앙박물관 불설 대 부모 은중경은 보모의 은혜에 대한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담은 경전으로, 어느날 석가모니불은 제자들과 함께 길을 가던 중, 전생에 부모였을지 모르는 오래된 해골을 보고는 엎드려 예를 갖추었습니다.  그런 뒤 석가모니불은 제자들에게 어머니의 열 가지 은혜, 세상 사람들어 저지른 온갖 불효,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일의, 어려움, 은혜를 갚을 수 있는, 방법을 차례로 가르쳐 주었습니다. 이 경전은 목판으로 찍은 우리나라의 "블설 대 부모 은중경"중 가장 오래된 예입니다. 경전의 마지막 부분에는 만든 해와 만든 사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불설 대 부모 은중경 경전 부모의 은혜가 한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며 그 은혜에 보답할 것을 가르친 경전이란 뜻으로, 줄여서 "부모 은중경"이라 하며, "불설 대 보부모 은중경"은 "부모 은중경"의 여러 이본(異本) 중 하나입니다. 이 경전은 중국 당대 중반부터 송대(宋代)에 성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물제 1125호 불설 대 부모 은중경 고려 1378년 2021년 이건희 기증      대 부모 은중경 만든이  ▲불설 대 부모 은중경 경전 영인스님의 부모은중경 독송

경복궁 경회루 수양벚꽃이 활짝

이미지
  수양벚꽃이 활짝피었습니다. 경복궁 경회루 4월들어 하루가 다르게 봄꽂이 피기시작 하고있습니다. 고궁 경복궁의 경회루 일원 수양벚꽂이 아름답게 활짝피었습니다. 경복궁 경회루 수양벚꽃이 활짝 경복궁의 정전 근정전 경복궁 경회루 일원의 백목련, 살구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수양벚꽃이 경회루 앞에 늘어져 활짝 피었습니다. 경회루일원의 수양벚나무 수양벚꽃 가지가 축 늘어져 아름답게 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인왕산을 바라보면서 활짝 핀 능수벚나무 수양벚꽃아래서 추억을 남기기 위해 한복을 입은 많은 방문객이 경복궁을 찾았습니다. 곱게 한복을입 은 한국인은 거의 없네요 향원정으로 기는 길목인 장고 앞의 고수버들 또는 파마버들이라 부르기도 하는 용버들. 용버들은 작은 가지가 아래로 처지면서 뒤틀리는 모습이 용트림을 연상해 용버들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1 용버들의 늘어진 가지가 고궁과 어울려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습니다. 경복궁 후원 건청궁 앞 연못 향원지에 조성해 놓은 아름다운 정자 취향교 건너 향원정      자경전 담벼락  활짝 핀 자경전일원의 벚나무 벌써 꽃이 지고 있는 홍매 경복궁 경회루일원 수양벚나무 영상

작은 금강산 칠보산 3D영상 전시

이미지
3D영상 작은 금강 칠보산을 거닐다. 자료/경복궁 고궁박물관 기획전 함경도의 명산 칠보산도 병풍(七寶山圖屛風)을 소재로 한 특별전시가 경복궁 고궁박물관에서 초대형 3D영상으로 전시하고 있어 관람해 보았습니다. 「작은금강 칠보산을 거닐다」 기획전시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국외문화재 칠보산도 병풍(七寶山圖屛風) 칠보산도를 3D영상으로 전시하는 기획전시 그림속 칠보산의 개심사  칠보산의 천불봉과 나한봉 작은금강 명산 칠보산 ▲칠보산병풍도 영상 칠보산은 조선시대에 "작은 금강(산)"으로 불리며 금강산처럼 누구나 한 번쯤 가고 싶어 한 곳이었다고 합니다. 15세기 문신이었던 임형수(林亨秀)가 1542년 3월에 칠보산을 다녀와 남긴 답사기 "유칠보산기(遊七寶山記)"가 널리 읽히면서 더 유명해졌습니다. 임형수(林亨秀)는 조선시대 문신으로, 평택(平澤)이 본관이며,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성격이 강직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임형수는 1535년 문과에 급제하여, 1545년, 조선 명종이 즉위하자 을사사화가 일어나면서 제주목사로 부임했으나, 1547년 벽서사건이 일어나자 윤원형에 의해 사사되었습니다. 생전에 호당(湖堂)에서 함께 공부하였던 이황(李滉), 김인후(金麟厚) 등과 친교를 맺고 학문과 덕행을 닦았으며, 그의 저서로는 『금호유고(錦湖遺稿)』가 있습니다. 10폭병풍에 그린 칠보산도 그림을 자세히 알아볼수있는 코너입니다. 칠보산도 칠보산도병풍(七寶山圖屛風)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소장 칠보산도 병풍은 함경도 명천 칠보산의 모습을 비단위에 수묵담채로 그린 10폭 병풍 그림으로, 크기는 460.0 × 185.2cm, 긱 화면 42.9(폭) 158.2m. 19세기 작품으로, 함경북도 명천에 있는 칠보산 일대의 풍경을 그린 실경산수화로, 19세기에 유행한 연폭의 대형 병풍으로 제작된 그림입니다. 칠보산(七寶山)의 기암괴석, 봉우리, 계곡 등 경관을 화면 가득 담아냈습니다. 개심사(開心寺), 회상대(會象臺), 금강굴(金剛窟)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