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가 호피를 닮은 호장근

이미지
  호장근(虎 杖根) 꽃말: 영원히 당신의것 호장근은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의 생긴 모습이 호피를 닮아 호장근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곤봉 모양의 뿌리줄기는 속이 비어있다. 뿌리를 호장( 虎杖)이라 부르는데, 근경은 목질로 길게 뻣어 나가면서 군락을 형성하게 된다. 호장근 암꽃과 수꽃이 서로 다른 그루에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흰색, 연분홍, 붉은색의 원뿔모양으로 활짝 피고 있다. 호장근 학   명: Fallopia japonica (Houtt.) RonseDecr 분   류: 마디풀 과(科) Polyognaceae 형   태: 여러해살이풀 크기는 1~2m 정도로 야 산지 물가에서 잘 자라며, 일본, 중국 등지에서도 분포하고 있다.     호장근 어린 줄기는 식용하며, 근경은 호장, 잎은 호장엽 이라 하여 약용하는데, 뿌리를 통경제, 이뇨, 완화제로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진정제로 사용한다. 류머티즘에 의한 근골 동통(筋骨疼痛), 습열 황달, 임탁(淋濁), 대하(帶下), 월경 폐지, 산후의 악로체류(惡露滯留), 복부(腹部)의 결괴(結塊), 치루 출혈(痔漏出血), 타박상, 화상 등을 치료한다.

식용 약용식물 머위

이미지
  머위 butterbur  식용 및 약용식물 머위는 유럽, 북미, 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머구, 머우, 머위, 머귀, 마윗대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약 15~20종(種)이 자생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침, 장아찌, 튀김 등으로 많이 애용하는 식용이자 약용식물이다. 머위는 그리스어로 "챙이 넓은 모자"라는 뜻으로, 머위가 큰 잎을 가지고 있는데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머위 야 산지에서 자생 및 주변에 많이 키우고 있는 머위 꽃 머위 학   명: Farfugium japonicum (L.) Kitam. 분   류: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 형   태: 다년생초  원산지: 한국,유럽, 북미  크기는 약 50cm 정도이며, 부엽질이 혼합되어있는 토양에 습지대의 반그늘 지역에서 잘 자란다. 이른 봄에 흰색의 꽃이 피는데 비늘처럼 생긴 포(苞)들에 쌓인 꽃대 위에서 산방상으로 핀다. 번식은 땅속줄기가 사방으로 퍼지면서 번식한다.     머위의 효능 머위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들어있는데, 소화를 돕고 식욕을 촉진시켜 식곤증과 소화 불량을 겪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머위"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맵고 달며 독이 없다. 또 기침을 멎게 하고 폐결핵으로 피고름을 뱉는 걸 낫게 하며, 몸에 열이 나거나 답답한 증상을 없애고 허한 몸을 보해 준다라고 기록돼 있다. 머위의  꽃봉오리를 말린 것을 관동화(款冬花), 뿌리잎을 관동엽(款冬葉), 꽃을 봉두화(蜂斗花)라 하는데,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한다. 잎과 잎자루는 나물로 먹으며,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머위는  주로 호흡기·소화기·비뇨기 질환을 다스리는데,  해독작용을 하며, 기침, 가래, 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선염에 효능이 있다.

비누냄새가 나는 비누풀

이미지
 비누풀 Soapwort 꽃말: 베푸세요 비누풀은 유럽이 원산지로 뿌리와 잎을 함께 끊이면 거품이 나는 비눗물이 되며, 세정력도 있다고 한다.  비누풀 꽃 꽃은 흰색, 연분홍색의 꽃이 줄기 끝에 모여 피는데 붉은색의 꽃도 있다. 꽃에서는 비누향이 안다고 한다. 그래서 영어 이름이  Soapwort인가 보다. 비누풀 학명: Saponaria officinalis L. 분류: 석죽 과(科) Caryophyllaceae     비누풀 비누풀은 여러해살이풀로, 크게는 1m까지 자란다. 비누풀 비누풀뿌리에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약용하는데, 가을에 캐어 말린 것을 만성 피부염 치료에 쓴다. 또한 식물체와 잎은 비누 대용으로 사용 가능 하다고 한다.

고약한 냄새가나는 누리장나무

이미지
  누리장나무 꽃말: 깨끗한 사랑 누리장나무는 마편초 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잎은 마주나기 하는데 희미한 선점( 腺點)때문에 냄새가 심하게 난다. 오동잎을 닮은 잎에서 나는 미간을 찌푸리게 하는 고약한 냄새로 취오동( 臭梧桐)으로 불리기도 한다. 누리장나무 꽃은 통꽃으로 여름에 기지 끝에 취산 꽃차례를 이루며 무리 지어 핀다. 꽃의 연한 분홍색의 꽃부리가 5갈래로 갈라졌다. 누리장나무  학  명: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ex Murray 분   류: 마편초 과(科) Verbenaceae 형   태: 낙엽활엽 관목 원산지: 한국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되어 있으며, 2~5m까지 자란다. 누리장나무 누리장나무 활용 초여름 어린잎은 나물로 먹으며, 가을에 잔가지와 뿌리 말린 것을 해주상산(海州常山)이라 하여 기침, 감창(疳瘡)을 치료한다.

덩굴성식물 노박덩굴

이미지
  노박덩굴 Oriental Bittersweet 꽃말: 명랑, 진실  노박덩굴은 햇볕을 좋아해 햇볕이 잘 드는 야 산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덩굴성 식물로 덩굴줄기가 길 위로 뻗어 나와 길을 가로막아 노박 폐덩굴로 부르다가 노박덩굴이 되었다고 하는데 정학한 유래는 찾아볼 수 없다. 노박덩굴 열매 노박덩굴 꽃은 초봄에 잎겨드랑이에서 암수 꽃 따로 피거니 한 꽃에 암. 수술이 같이 달려 1~10송이씩 모여 핀다. 열매는 삭과로 10월부터 엷은 황색으로 이는데, 익은 후에는 3갈래로 벌어져 주황색 씨가 드러난다. 씨는 산새들의 좋아하는 먹잇감이 된다. 노박덩굴 학   명: Celastrus orbiculatus Thunb.  분   류: 노박덩굴과(Celastraceae)  형   태: 낙엽 만경목.  원산지: 한국  크  기: 10m이상 자란다.     노박덩굴 우리나라는 노박덩굴오 불리지만, 중국에서는 남사(南蛇)라 하여 뱀을 닮은 등나무라 했고, 일본에서는 붉은 열매가 낙상홍을 닮아 덩굴낙상홍이라 하고있다.   노박덩굴의 종류 노박덩굴 효능 노박덩굴은 이른 봄에 새순을 떠서 나물로 먹는데 옛날에는 구황식물로 활용하기도 했었다. 또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살균 및 진통효과가 있어 관절염 치료, 벌레 물린데 효험이 있다고 한다, 8월~10월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남사등근(南蛇藤根)이라 하여, 류머티즘에 의한 근골통(筋骨痛), 구토, 복통, 종독(腫毒)을 치료한다. 늦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남사등(南蛇藤)이라 하여, 사지마비, 소아 경기,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치통, 구토를 치료한다.

보석같은 붉은열매 낙상홍

이미지
  낙상홍 꽃말: 명랑 초겨울 서리가 내린 뒤에도 잎은 떨어지고 붉은 열매만 다닥다닥 붙어있어 낙상홍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낙상홍 학   명: Ilex serrata Thunb.  분   류: 감탕나무과 Aquifoliaceae  형   태: 낙엽 활엽 관목 원산지: 일본 낙상홍 초여름에 연분홍색의 꽃이 산형상으로 모여 피며, 2~3m 정도까지 자란다. 낙상홍 낙상홍 나무의 뿌리껍질과 잎은 소염, 지혈 작용을 해 약용으로 쓰,인다. 낙상홍 다닥다닥 붙어있는 보석 같은 열매는 아름답고 추위에도 강해  조경수로 많이 심고 있다.

제주도에서만 서식 덩굴모밀

이미지
  덩굴모밀 Creeping smartweed 가을부터 피기 시작해 12월까지 제주도에서만 볼수 있다는 남방계 식물로 알려진 덩굴 모밀에 대해 알아본다. 꽃이 메밀꽃과 닮은 덩굴성이라 덩굴 모밀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덩굴 모밀 영 문: Creeping smartweed 학 명: Persicaria chinensis (L.) Nakai 분 류: 마디풀과 (Polygonaceae) 형 태: 여러해살이풀 덩굴모밀 덩굴 모밀은 10월부터 흰색의 꽃이 피기 시작하는데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모여 달리며, 꽃받침은 5장, 꽃잎은 없다. 덩굴모밀 덩굴 모밀은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일본, 중궁, 인도, 말레이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덩굴모밀 덩굴 모밀은 우리나라 제주에서만 자생하고 있어 개체수가 매운 적은 야생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