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나무 숲 복원

이미지
  사라져 가는 구상나무 숲 DNA 이력 관리로 복원 기후변화로 사라져 가는 멸종위기 구상나무 숲을 회복시키기 위해 DNA 이력관리를 이용한 복원재료 확보와 관리기술을 마련했다. 구상나무는 2011년 세계 자연보전 연맹(IUCN)에서 위기종으로, 분류한 나무로 신생대 3기부터 수백만 년 동안 혹독한 환경을 견디면서 우리나라 산의 정상부, 해발 고도 1.000m 이상에 적응한 특산식물이다.  자료출처/산림청   지리산 구상나무 숲 오랜 세월 우리 땅을 지켜온 구상나무가 최근 인간의 간섭과 환경변화에 따른 서식지 악화로 분포면적이 많이 감소하고 있다. 2019년 산림청의 전국 실태조사 결과 전국 구상나무의 쇠퇴율도 약 33%인 것으로 나타나서 유전자원 보존과 자생지 복원이 가장 시급한 수종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해 생장이 느리고 관리가 어려워 복원재료로 활용하기까지 5년 이상의 긴 기간이 필요하다. 세계 식량농업기구(FAO)는 구상나무와 같은 멸종위기종 복원 시 유전적으로 적절한 재료를 사용하여 지역 고유성을 훼손하지 않는 유전 다양성 복원을 강력히 권장하고 있다.  2019년 금원산 잔존 집단 복원 시험지 조성 산의 정상부인 고산지역은 바위가 많고 흙이 적기 때문에 양분이 부족하고 눈비가 내리더라도 수분을 오랫동안 머금을 수 없어 건조해지기 쉽다. 더군다나 바람이 강하게 불고 온도가 낮아 나무들이 자라기에는 매우 혹독한 환경이다. 산림청 국립 산림과학원 산림 생명정보 연구과는 유전자(DNA) 식별표지(마커)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나무마다 유전특성을 분석하여 대상지역에 적합한 개체를 확보하는 유전자(DNA) 이력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복원이 필요한 지역에 가장 적절한 개체를 선발하는 기술을 확보하였다. 유전자(DNA) 이력관리를 적용하여 구상나무 잔존 집단 금원산 복원 시험지를 조성한 결과 어린 구상나무의 생존율이 99%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원산은 구상나무 분포면적이 1ha 미만이며 어른

창덕궁

이미지
  창덕궁 낙선재(樂善濟) 문화유산 조선의 5대 궁궐 창덕궁 깊숙한 곳 창덕궁의 후원 가는 길목에 있는 낙선재는 왕의 서재겸 사랑채이다. 헌종은 자신과 효정왕후 사이에 자식이 없자 1847년 김재청의 딸을 경빈으로 맞이하면서, 중희당 근처에 낙선재를 지었다. 이듬해에 석복헌을 지어 수강재와 나란히 하였다. 낙선재는 헌종의 뜻에 따라 단청을 입히지 않아 소박함을 보여주고 있다. 낙선재의 현판 글씨는 청나라의 문인 섭지선의 글씨이며, 대청마루 앞 주련에는 추사 김정희의 스승인 옹방강의 글씨가 있다. 낙선재 후원 누각에 매화가 활짝 피어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낙선재(樂善齎) 낙선재 후원 상랑정 낙선재(樂善齎) 석복헌(錫福軒) 수강재 활짝 만개한 매화 낙선재 뜰에는 봄꽃, 살구나무, 매화 등 활짝 피고 있어, 고궁과하께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낙선재(樂善齎) 낙선재와, 석복헌, 수강재를 통틀어 낙선재라 하며, 보물 1764호로 지정되어 있다. 낙선재 일원 map 다른글 ☞ 조선 5대궁궐 창덕궁

봄의 전령사 히어리

이미지
  봄의 전령사로 불리는 꽃 우리꽃 히어리 활짝 우리 꽃 히어리가 노란 꽃망울을 터트렸다. 조록나무과과에 속하는 히어리는, 이른 봄에 피는 한반도 고유식물로, 전 세계에 29종이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단 1종만 자생하고 있다.      자료출처/국립생태원 히어리 식물분류학적으로 조록나무과(科)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1~2m 높이로 자라며, 이른 봄인 3~4월에 잎보다 노란색 꽃이 먼저 핀다.     히어리는 ‘송광 납판화’라고도 불리는데 최초로 발견된 지역인 전남 순천 송광사의 지역적 의미인 ‘송광’과 꽃잎이 밀랍처럼 두텁고 납작하게 핀다는 뜻의 ‘납판화’라는 형태적 의미가 더해져 이름이 유래됐다. 히어리는 2005년부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분류되어 보호받아 왔으나, 꾸준한 자생지 보전과 현지 복원, 서식지외 보전 등 다양한 노력이 더해져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2012년부터 멸종위기종에서 해제된 꽃나무이다.

조선의 5대궁궐 창경궁

이미지
  창경궁(昌慶宮) 세계유산 조선 5대 궁궐 미세먼지 극심하지만 맑은 날 조선의 5대 궁궐 창경궁을 찾았다. 보물 제384호 홍화문(弘化門)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은 조선 성종 15년인 1484년에 지은 건물로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광해군 8년 1616년에 다시 지었다. 보물 제386호 옥천교(玉川橋) 명정문으로 가는 금천교인, 옥천교 창경궁은 다른 궁궐과 달리 옥천교로 부른다. 보물 제385호 명정문(明政門) 명정전으로 가는 입구인 명정문 과 행각이 조정을 둘러싸고 있으며, 행각은 왕실의 친위부대 주둔지나 왕실의 초상을 치르기 위한 재실로도 쓰였다.     국보 제226호 명정전(明政殿) 1616년에 세워진 국보 명정전은 창경궁의 중심 전각으로, 각 궁궐에 남아있는 정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문정전(文政殿) 신하들과 국가 정책을 의논하던 창경궁의 편전으로 1968년 복원하였다. 궐내각사터 관천대 주변 공터로 궐내각사가 있었던 곳으로, 중심에는 군사업무를 총괄하던 도총부가 있었다. 일제강점기 때 이곳을 허물어 동물원을 만들었었다. 보물 851호 관천대(觀天㙜) 조선시대 때 천체를 관측하던 시설 숭문당과 함인정 명정전의 후전에 해당하는 건물로 숭문당은 임금이 신하들과 경연을 열어 정사와 학문을 논하던 곳이다. 함인정은 과거에 급제한 신하를 접견하던 곳이다. 양화당과 통명정  내명부의 어른들을  접대하던 양화정과, 왕과 왕비의 침전인 통명정은 보물 제818호로 지정되어 있다. 영춘헌과 집복헌 후궁들의 영역으로, 사도세자와 순조가 집복헌에서 태어났으며, 정조는 영춘헌에서 승하 하였다. 창경궁의 대온실 가는 걷기 좋은 숲길   창경궁의 대온실은 우리나라 최초의 온실로, 현재는 코로나 영향으로 비공개하고 있다. 보물 제1119호 팔각 칠 층 석탑  춘당지 주변에 있는 중국식 석탑으로, 기존의 석탑과는 달리하고 있다. 창경궁의 춘당지 궁녀들의 처소였던 내전 터 성종의 태실 탑 보물 제846호 풍기대 대 위에 구멍

창덕궁 회화나무

이미지
천연기념물 472호 회화나무군 세계유산 조선의 궁궐   창덕궁 돈화문 주변의 회화나무 8그루는 모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나무 크기는 15~16m 정도로, 수령은 300~400년  된 노거수 들이다, 이곳의 회화나무는 1830년 무렵의 그림 동궐도에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때 불에 탄 창덕궁을 재건할 때 심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돈화문 주변은 조정의 관료들이 집무 보는 관청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곳에 회화나무를 많이 심은 것은, 궁궐 안쪽에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를 심고 그 아래에서 삼공(三公) 나랏일을 논하다.라는 중국의 고사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궁궐 외에도 선비들이 모여사는 곳에는 회화나무를 많이 심어, 학자 나무라고도 부른다. 창덕궁 금천교위 노거수 느티나무 한그루가 오랜 세월을 창덕궁과 함께하고 있다.     창경궁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오랜 세월을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뿌리와 줄기가 뒤엉켜 자라고 있다. 그 옛날 정조와 어머니 혜경궁이 살얼음판 같은 궁궐 안에서 서로를 의지하면서 서 있는 모습을 연상케 하고 있다. 창경궁 명정전 외곽 궐내곽사 터 있는 이 회화나무는 영조 38년 뒤주 속에서 갇혀 죽은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역사를 함께한 나무로, 사도세자의 비명소리를 듣고 너무 가슴이 아파 줄기가 비틀어지고 속은 비어있는 것은 아닌지~~ 이 느티나무는 그 시절의 산증인이다. 궐내각사터 비틀어진 회화나무 명정전 앞뜰의 노거수 회화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