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화감상 저승사자 국립중앙박물관/불교회화실 국립중앙박물관 불교회화실에서 전시하고 있는 불교회화 「저승사자」 작품을 소개해 봅니다. 오방오제위도(五方五帝位圖) 다섯 방위를 다스리는 왕 2021 이건희회장 기증 다섯빙위를 다스리는 오방오제위는 동, 서, 남, 북, 중앙의 다섯 방위로 통하는 길을 활짝 열어 모든 중생과 성인, 구천을 떠도는 영혼까지도 모두 제 갈길을 갈 수 있도록 해주는 존재입니다. 다섯 방위의 왕에 대한 신앙은 처음 고대 중국의 다섯 황제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하여 불교의 오방(五方)과 결합되었습니다. 조선 후기 사찰에서는 수륙제등 의식을 행할 때에 동방대호지군, 남방염제지군, 서방소호지군, 북방전욱지군, 중방황제지군의 다섯 존상을 봉안했습니다. 의식이 열릴 때 이 그림을 사직사자도와 대칭을 이루도록 걸어 놓고 다섯 방위에 중생을 구하고 다섯 길을 열어 주기를 기원했습니다. 네 저승사자(四 直使者) 2021 이건희회장 기중 사직사자는 사람이 죽었을 때 염라대왕이 죽은 사람 집으로 파견하는 네 저승사자를 말합니다. 각각 살마이 태어난 해(年)와 달(月), 날(日), 시(時)를 담당하는 연직사자(年 直使者) , 월직사자(月 直使者) , 일직사자(日 直使者), 시직사자(時 直使者)를 말합니다. 네 사자는 본래 도교의식에서 공양을 올리며 기원하는 존재인데 불교의식에 도입되었습니다. 조선후기에는 사찰에서 수륙제 등 의식을 할 때에 사직사자의 그림을 다섯 방위를 다스리는 왕인 오방오제위 그림과 대칭으로 걸어놓고 의식을 행했습니다. 사직사자도는 한 폭에 한 명씩을 그린 네 폭으로 구성되거나, 이 그림처럼 한 폭에 네 사자를 모두 그리기도 합니다. 그림의 네 사자는 입고 있는 옷의 색과 손에 든 물건, 말의 털 색으로 구분됩니다. "통도사 사작사자도" 등과 비교할 때 화면 상단 왼쪽의 검은 옷은 연직사자, 상단 오른쪽의 초록색 옷은 월직사자, 하단 좌측은 일직사자, 하단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