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선학초로 불리는 짚신나물

이미지
 짚신나물  Hairy agrimony 짚신나물은 선학초(仙鶴草)라고도 불리는데, 선학초 외, 과향초, 노우근, 자모초, 자선초 등 많은 이름을 가진 야생화로, 짚신에 달라붙어 짚신과 함께 여러 곳을 여행한다 하여 짚신나물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짚신나물 꽃 짚신나물 꽃말: 감사 학   명: Agrimonia pilosa Ledeb. 분   류: 장미과 Rosaceae 형   태: 여러해살이풀 원산지: 한국 분   포: 일본, 중국, 히말리아     짚신나물은 초여름부터 줄기 끝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노랗게 꽃이 피며 크게는 1.0m 이상 자란다. 이른봄 어린잎은 식용 가능하며, 에로부터 설사를 멈추게하는 약재로 써왔다, 아프리카, 유럽에서도 신장병, 관절염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약용식물이기도 하다.

특산식물 취약종 모감주나무

이미지
 모감주  Goldenrain rree 특산식물, 취약종 모감주나무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취양종으로 분류되어 있는 나무로, 불교와 인연이 깊은 나무다. 가을에 꽈리같이 열리는 열매의 씨로 염주를 만들어 염주나무로도 불린다. 완도의 대문리 모감주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428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해안을 따라 1.0km 정도에 470여 그루의 모감주 나무 군락지가 있다. 또한 안면도의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138호, 포항 발산리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371호로 지정되어있다. 가을에 꽈리같은 열매를 맺는  모감주나무 모감주 꽃말: 기다림, 자유로운 마음 학   명: Koelreuteria paniculate Laxmann 분   류: 무환자나무 과 Sapindaceae 형   태: 낙엽활엽 소교목 원산지: 한국     양지바른곳에서 잘자라는 모감주나무 모감주 모감주나무는 온대지방의 양지바른 곳에서 20여 m까지 자라는 키 큰 나무로 유월부터 노란색의 꽃이 원추 꽃차례의 가지에 수상(穗狀)으로 달린다.

약용식물 호장근

이미지
  호장근(虎杖根) 호장근은 어릴 때 줄기의 모습이 호랑이의 호피를 닮아 호장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곤봉 모양의 뿌리줄기는 목질로 속이 비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학   명: Fallopia japonica (Houtt.) RonseDecr 분   류: 마디풀 과 Polyognaceae 형   태: 여러해살이풀 원산지: 한국/아시아       호장근 호장근은 냇가나 야 산지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봄부터 암꽃과 수꽃이 서로 다른 그루에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뿌리를 호장(虎杖)이라 하며, 길게 뻗으면서 군락을 형성한다. 생약명은 호장근(虎杖根), 산장(酸杖), 뿌리를 통경, 이뇨, 완화제로, 민간에서는 진정제로 사용하는 약용식물이다.        

양평세미원 연꽃관련 유물전시

이미지
세미원 연꽃 박물관 경기도 지방정원 1호 세미원  세미원은 자연정화ㅠ공원으로 경기도로부터 지원을 받아 조성한 연꽃정원으로, 세미원의 연꽃박물관 1층은 카페, 2층~3층은 전시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연꽃박물관은 연꽃이라는 단일 테마 아래 연꽃 관련 생활용품과, 고서 등 유물이 전시되고 있는 박물관으로 2009년에 개관 하였다. 세미원 내에 있는 연꽃박물관 33연꽃박물관 내부 전시공간 애련설(愛蓮說) 송나라의 성리학자 주돈이의 애련설은 우리나라에도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꽃 관련 옛 생활용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시대별 연꽃문양과, 연꽃문양 종류를 전시 연꽃문양의 수저주머니 자신의 수저를 따로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거나, 휴대하고 다니로 만들어진 연꽃문양의 수저주머니  연꽃문양을 한 싱을감아 보관하는 실패 연지문 인두판 인두판은 인두질할 때 사용한 밑에서 천을 받치는 판을 말한다. 연꽃무늬 안경집, 바늘꼿이, 세실 주머니 호박 굴레 건으로 만들어진 전통 호박 굴레 연꽃무늬 청자 발, 청자대접     연꽃무늬 고려시대 수저 손 끝에 담은 한(恨) 규방공예 선비의 연꽃 불가에서의 연꽃문양 불교와 연꽃 연꽃문양 청자 부처를 상징하는 연꽃 연꽃이 의미하는 불교 연꽃박물관 대표 소장품/이미지 출처 연꽃박물관 양평 세미원 연꽃정원의 연꽃박물관에서 연꽃의 관한 생활용품, 연꽃의 자료 등 새로운 연꽃 관련 전시를 살펴보았다.

원예품종 꽃댕강나무

이미지
  꽃댕강나무  Glossy abelia "꽃댕강나무"는 우리나라 형안도 석회암지대에서 서식하는 고유종인 "댕강나무"를 일본으로 건너가 원예품종으로 개발해  1930년경 일본에서 도입한 꽃나무로, 댕강나무는 나뭇가지를 꺾으면 "댕강"소리가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꽃댕강나무 꽃 학   명: Abelia mosanensis T.H.Chung ex Nakai 분   류: 인동과 Caprifoliaceae 형  태; 낙엽활엽 관목 원산지: 한국/이북지방 크   기: 2m이상 자란다.     꽃댕강나무 꽃 꽃댕강나무 꽃 꽃댕강나무 꽃은 부러질 듯 가는 가지에 잎을 달고서 분홍빛도는 작은 종모양의 흰꽃들이 모여서 피는데, 7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찬바람이 부는 12월 초겨울까지 꽃을 볼 수 있는 꽃나무이다.

특산식물 모시대

이미지
  모시대  Scattered ladybell 특산식물 모시대라는 이름은 정확한 유래는 없으나 잎이 깻잎같이 생긴 모시잎과 닮아 모시대라 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학   명: 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분   류: 초롱꽃과 Campanulaceae 형   태: 여러해살이풀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모시대는 전국 깊은 계곡 수림 아래, 다소 습한 지역에 군락을 이루면서 자생하고 있으며, 크게는 1.0m 이상 자란다. 꽃은 여름에 피는데 자주색으로 원줄기 끝에서 밑을 향해 원뿔꽃체레로 된다. 연 한 잎과 뿌리는 식용으로 가능하다. 뿌리는 봄가을 캐어 삶아먹거나 장아찌로 먹는다. 모시대의 뿌리(根)는 제니, 꽃대와 잎(葉)은 제니 묘라 하여 약용하는데, 청열, 해독, 소담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특산식물 문배나무

이미지
기준표본목 문배(특산식물)  Munbae 홍릉숲 새로운 식물을 발견하여 이름을 처음 붙이게 되는 나무를 기준 표본목 이라고 한다. 문배는 홍릉숲 현 위치에서 1935년 일본의 식물학자인 Nakai교수에 의해 처음 발견되면서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으나 1966년 이창복 선생에 의해  다시 이름 지어진 나무로 학술적 가치가 큰 나무로 알려지고 있다.  문배나무 열매 학명: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Nakai) T.B.Lee 분류: 장미과 Rosaceae 형태: 낙엽활엽교목     홍릉숲의 기준 표본목 문배나무 1906년생 문배는 산돌 나무의 변종으로 산돌배나무에 비해 큰 것이 차이점이며, 문배나무의 크기는 10m정도로, 열매는 둥글고 지름 3~4cm 정도의 작은 열매가 달리며, 식용 가능하다. 문배 종류

비늘줄기 번식하는 야생화 무릇

이미지
  무릇   Japanese Jacinth 무릇은 비늘줄기로 영양 번식을 하는 식물로, 무릇의 옛말은 물웃이며, 무릇의 방언으로 물구지다, 물웃의 물은 "水" "웃"은 위쪽을 뜻하고 있다."구지"는 가장자리라는 뜻으로, 물기가 많은 곳, 구석진 곳에서 잘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무릇 무릇 꽃말: 강한 자제력 학   명; Scilla scilloides (Lindl,) Druce 분   류: 백합과 Liliaceae 형   태 여러해살이풀 원산지: 한국 분   포: 일본, 중국, 만주등에서도 분포     무흣 무릇 무릇은 전국의 야생에서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연보라색의 예쁜꽃은 여름에 기다란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크기는 약 50cm까지 자라며, 봄철에 비늘줄기를 캐어 나물로 먹으며, 비늘줄기는 둘글레, 참쑥과 함께 푹고아 엿처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무릇의 생약명은 면조아, 천산, 지란이라 하여 요통, 타박상 치료제로 사용하는 약용식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