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경 금동 관음보살 좌상 불상

이미지
금동 관음보살 좌상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금동 관음보살 좌상 金銅觀音菩薩坐像 조선초 15세기경 1908년 입수 높이 38.6cm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 관음보살이 가진 자비의 마음이 예술로 발현되어 성스러운 미(美)의 경지에 도달한 불상이다. 세운 무릎 위에 오른팔을 올리고 왼손으로 바닥을 짚은 자세는 수월관음 모습에서 연유하며, 전륜성왕이 취하는 자세라는 의미로 윤왕좌라 부른다. 역삼각형 얼굴과 가늘고 긴 상체, 원형의 커다란 귀걸이와 온 몸을 휘감은 화려한 장신구는 명나라 영락 연간(1403-1424)불상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2016년 조사에서 조선 15세기와 16세기 두 차례 복장물이 납입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조선 전기 직물 편 일부와 "인삼" 등 한글이 이 표기된 포장 종이 등도 함께 발견되었다.

청계천 박물관 기획전시 기계공구상가

이미지
붕어빵틀에서 인공위성까지   청계천 기계공구상가 청계천에서는 탱크나 인공위성도 만들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청계천은 세운상가를 축으로 좌우에 자리한 장사동, 산림동, 입정동의 긱켸공구상가이다. 이곳은 70여 년 전부터 미군부대의 물건들과 일제 중고 공구들의 거래가 있었다. 상거래가 확장되면서 지금은 도. 소매를 망라하고, 비슷한 업종이 뭉쳐하니의 공정 유기체를 형성하고 있다.  청계천 박물관 청계천의 역사와 한께하는 박물관 기계공구상가 기획전시 80년대 천계천의 장인들이 만든 88 올림픽 배지는 박물관의 유물이 되었고, 어느 청년의 인공위성을 향한 상상력은 현실이 되어 우주로 날아갈 수 있었다, 청계천 기계공구상가 청계천 박물관 기획전시는 우리의 일살 속 물건에서 최첨단 기계까지 만들어낸 도심 속 소상공인의 힘을 기록한, 서울에 숨겨진 공간, 청계천 기계공구상가의 놀라운 성과들을 함께 느껴 보는 전시이다. 청게천 공구상가 골목 공구상가 구역 청계천 기계공구상가는 장사동의 전기전자 골목, 입정동, 산림동은 청계천 쪽에 가까운 곳으로 종로대로 쪽에서 안쪽에 위치하며, 금속의 정밀가공, 주물, 목형, 칠 공장 등이 위치하고 있다. 경인빠우 기계공구 상가에서 보이는 용어는 주로 일본어나 일본식 외래어 표현이 한국식으로 약간 변형된 것 들이 많다. 여기의 빠우(Buff) 는 금속표면을 연마할 때 사용하는 천 또는 해당 작업 그 제체를 일컫는다. 세원정밀 대성정밀 밀링선반 이것만 있으면 무엇이든 연마하여 만들어 낼  수가 있었다. 붕어빵틀에서 인공위성까지 붕어빵틀  인공위성 장비 세운상가와 공구 기계상가 청계천에서는 일상적인 것에서부터 첨단 시제품까지 제작이 가능하다. 붕어빵 틀과 인공위성은 청계천 기계공구상가의 넓은 제작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임인년 호랑이해 8폭병풍 그림

이미지
  임인년 새해 호랑이 그림 감상 임인년 새해 호랑이 서화 감상 달빛 아래 솔숲 사이 호랑이들 조선 19세기 작품 작가는 미상 국림 중앙박물관 서화실 서화 감상 중앙 국립박물관 2층 서화실에서 2022 임인년 호랑이 새해를 맞이하여 호랑이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이다. 서화감상 호랑이그림 5폭에서 8폭 서화 감상 호랑이 그림 1폭에서 4폭 서화 감상 달빛 아래 솔숲 사이 호랑이들, 8폭병풍 옛사람들은 줄무늬 범과 호랑이를 모두 호랑이로 여겼다. 이 그림에는 밝은 달빛 아래 솔숲 사이로 줄무늬 표법과 호랑이가 서로 어울려 놀고 있다. 새끼를 돌보는 어미 표범, 무엇인가를 바라보는 호랑이 등 해학적 모습을 한 호랑이가 눈에 띈다. 예로보터 호랑이는 악환 기운을 몰아내는 존재였으며, 달과 소나무는 장수를 상징하였다.  이 그림은 잡귀를 몰아내고 잡안의 평안을 기원하는 용도로 그린 것으로 보이며, 현 전하고 있는 호항이 그림 중 필력과 구도의 완성도가 가장 높은 그림으로 평가되고 있다.

사적 제157호 환구단 황궁우

이미지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환구단 환구단(圜丘壇) 사적 제157호 환구단은 하늘의 상제(上帝)와 오방제(五方帝)에게 제사를 드리는 곳이다. 우리나라의 제천행사는 삼국 시대에서부터 나라의 제천의례로 시행되어 왔다.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에 즉위하면서 환구단에 제를 지냈는데,  일제 때 헐리고, 현재는 환구단(圜丘壇) 내 황궁우(皇穹宇)와 석고 3개만이 남아있다.  황궁우(皇穹宇) 황궁우는 1899년에 만들어진 3층의 8각 건물로, 석고(石鼓)는 악기를 상징하는 듯한 모습으로 화려한 용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3년 환구단을 없애고, 그 자리에 현재의 조선호텔이 들어서게 되었다. 바운의 역사이다. 1907년 환구단으로 추정되는 건물 황제국의 상징인 환구단과 환구제 황제국의 상징  환구단 동영상

서화감상 고사인물도

이미지
 고사인물도 故事人物圖 조선 19세기 초   이재관(1783~1836) 국립 중앙박물관 현식에서 벗어나 자연을 즐기고 자신의 기예에 몰두한  중국 인물을 그린 그림이다. 서화감상 고사인물도( 故事人物圖) 서화감상 고사인물도 1~2폭 1폭 송하처사도(松下處士圖) 세상사람을 업신여기다. 2폭 파초하선인도(芭焦下仙人島) 파초 잎 위에 홀로 시를 쓰다. 서화감상 고사인물도 3~4폭 3폭 미인사서도(美人寫書圖) 4폭 미인취생도(美人吹笙圖) 서화감상 고사인물도 5~6폭 5폭 여협도(女俠圖) 6폭 여선도(女仙圖)

숭인동 벼룩시장에서 물길따라 걷는 산책길

이미지
  숭인동에서 청계천 물길따라 걷기 종로 숭인동 동묘역에서 동묘 벼룩시장을 지나 영도교에서 청계천 물길 따라 산책해 본다. 동묘역 앞 벼룩시장 벼룩시장엔 없는 것 빼고 모든 게 다 있다는 벼룩시장  청계천 물레길 벼룩시장과 연결된 영도교(永渡橋) 영도교(永渡橋)는 가슴 아픈 역사가 숨 쉬는 다리다. 그 옛날 단종임금이 강원도 영월로 귀양 갈 때 정순왕후와 마지막 이별을 한 장소이다. 조선시대에는 영영 이별한 다리라 하여 영 이별교, 영영 건넌 다리 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청계천 물레길 영도교 아래에 흐르는 물길 따라 청계천 숲길이 이어진다. 이지점에서 숲길의 줄발점 인 청계광장까지는 약 6.0km 정도 되며, 여기서 청계천 물길의 끝 지점인 고산자교까지는 약 2.0km정도의 거리다. 오늘은 고산자교까지 걸어본다. 청계천 물레길 영도교를 지나면 황학동 풍물 시장가는 다리 황학교가 나온다. 청계천 물레길 황학교 위로 서울 풍물시장으로 이어지는 길 청계천 물레길 물레길에는 비둘기들이 떼 지어 노닐고 있다., 사람이 지나든 말 든 신경 안 쓴다. 청계천 물레길 황학교를 지나면, 바우당교 앞 존치 교각을 지나게 된다. 청계천 물레길 존치교각 청계천 물레길 존치 교각은 옛 동서를 잇는 청계천 고가도로의 일부로 바우당교 와 무학교 사이의 교각 3기를 철거하지 않고 존치하여, 미래유산으로 남겨 두었다, 이 교각은 2013년 미래유산 247호 지정되었다. 청계천 물레길 청계천 무학교를 지난다.     청계천 물레길 청계천 물레길 청계천 두물다리 아래 징검다리 청계천 물레길 판자촌 두물다리를 지나면 5060 시절 청계천의 역사 판자촌 일부를 남겨두어 체험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판자촌 뒤로 청계천의 역사관인 청계천 박물관이 있다. 청계천 물레길의 끝 지점 고산자교 청계천 물레길 고산자교를 지나면 청계천 물길은 신답교를 지나 중랑천과 합류 물길은 한강으로 흘러간다. 청계천 물레길 청계광장에서 출발하는 물레길은 동대문 오간수문을 지나 고산자교를 지나 한강으로

청계천 일대 개발전 판자촌모습

이미지
  6070 시절 청계천 무허가 판자촌 조선시대 때부터 동대문 오간수문 일대는 거지들이 모여 살던 공간이었다, 해방 후 까지도 동대문에서 청계천 일대에는 가난한 사람들의 주거공간이었다. 판자촌 일제강점기가 지나고, 해방 이후 6.25 동란을 거치면서 북에서 월남한 월남민 들과 남에서 상경한 어려운 사람들이 이 일대 청계천변에 오두막 판잣집을 짓고 살게 되었다.  청계천변 판자촌 청계천변 판자촌 몰려드는 어려운 사람들이 늘어나지 이 일대는 주거 지역인 동시에 큰 시장이자 산업지역 이기도 했다. 청계천 판자촌 천변 사람들은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오는 물품들을 사고팔고, 폐품을 재활용하여 새 상품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해방과 전쟁을 겪으며, 산업화되는 과정에서 청계천변 시골 사람들은 서울사람으로 바뀌고, 농민이 노동자로 바뀌는 전이 지대였다.   삶의 터전이, 청계천변 판자촌 이 일대 시장의 상점주와 종업원은 대부분 천변에 사는 사람들이었으며, 불법 물건 가리지 않고 모든 물품이 거래되는 도깨비시장 형성되었다. 천변의 시장은 지금의 평화시장, 공기계 상가, 황학동 벼룩시장 등의 기원이 되었다. 도시개발의 걸림돌이 된 판자촌 청계천변 50년대, 60년대 서울을 대표하는 슬럼이었다. 서울에서 가장 부끄러운 장소가 되어 갔다. 청계천 복개와, 천변 판자촌 철거는 미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인식되기 시작, 수많은  어려움 속에 많은 시행착오와 함께 개발되면서, 오늘의 청계천이 탄생하게 되었다.   판자촌 체험 청게천 7가 일대 그시절 판자촌 일부를 재현해 체험장소로 공개하고 있다.     3070시잘 판자촌 판자촌 풍경 판자촌 풍경 내부 공간이 협소해 코로나19로 사전 연락 후 제한적 체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