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꽃 개나리 바로 알자

 한반도 특산식물 개나리

봄꽃 개나리의 바로 알자


봄의 전령사 개나리


봄을 알리는 전령사 개나리는 한반도의 특산식물이다. 개나리에 대한 자료를 신림청에서 찾아 소개해 본다. 개나리의 학명은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이며, 영어 이름은  Gae-na-ri이다. 모든 식물의 실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명이 정해진 과정을 알면 쉽다. 하나의 학명에는 역사와 이야기, 식물종을 바라보는 여러 가지 관점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개나리의 학명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를 보자,  먼저 괄호 안에 미국인 레더(Rehder)와, 맨 뒤에 일본인 나카이(Nakai) 두 명의 외국 식물학자 이름이 등장을 하는데, 이것은 레더가 먼저 학명을 제안하였고, 이후 나카이가 학명을 수정하였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봄철 대표꽃 개나리

 미국 아널드 수목원의 레더는 윌슨의 수많은 채집품 중 하나인 개나리를 키워보니 동북아시아 중국의 내륙에서 자라는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와 유사하여 그것의 변종(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var. koreana Rehder)으로 1924년 명명하였다.

 

 

레더가 명명한 1924년에 앞서, 나카이는 이미 1923년 미국 아널드 수목원을 방문하여 레더, 윌슨과 함께 한반도의 개나리에 대한 의견을 교환후, 1924년 레더는 한반도 특산식물이며 의성개나리의 변종으로서 ‘개나리’의 학명을 제안하였으나, 1926년에 나카이는 “한반도의 개나리는 개나리류 중에서 가장 매력적인 식물이다.”라고 표현하며 변종이 아닌 종으로서 한반도 특산식물 개나리의 학명을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로 하자고 제안하여 이루어졌다.


개나리 꽃


한국에서는 대부분 나카이의 제안을 수용하여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라는 학명을 쓰고 한반도 특산식물로 다루고 있다. 각 지역에서 수집한 다양한 개나리류를 관찰할 수 있었던 아널드 수목원 레더의 시각을 존중한다면 개나리의 학명은 달라질 수 있지만 한반도 특산식물인 것은 변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산개나리
산개나리

한반도에는 ‘만리화’, ‘산개나리’, ‘개나리’ 등의 개나리류가 기록되어 있는데 특이하게도 모두 한반도 특산식물이다. 개나리류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에서 아주 오래전부터 심어 길러온 중요한 식물이다.

동북아시아 내륙에 자생하는 의성 개나리와 당 개나리(Forsythia suspensa (Thunb.) Vahl)는 각각 일본과 중국의 정원에서 심어 기르던 개체들로부터 학명이 명명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이 두 종은 현재 거의 모든 개나리 품종의 조상종으로 알려져 있다. 

응봉산 개나리
응봉산 개나리

특히 중국 지역에 자라는 의성개나리는 1700년대 말 일본의 정원에서 키우던 개나리류를 기록한 것으로서, 과거에도 이미 개나리류들의 많은 품종이 존재했고 동북아시아 전체적으로 재배품 또는 원종의 교류가 많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개나리와 만리화 모두 아주 오랫동안 일본에서 길러온 것으로 추정하는 기록이 존재한다. 한반도의 개나리는 높이가 3m 이상 자라는 큰 관목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가지를 쳐 작게 기르는 현재와는 달리 과거엔 크게 키운 개체들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직지사 개나리
직지사 개나리

김천 직지사에는 높이 3m 수준의 개나리들이 여러 개체 있는데, 수령이 200년 된 큰 개나리가 있었지만, 죽고 현재는 없다.


개나리는 암술이 긴 장주화(좌)와, 암술이 짧은 단주화(우)로, 개나리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은, 근친 교배를 억제하고 서로 다른 형태의 개체들끼리 교배하기 위해 발달한 진화적 경향이라고 한다. 

개나리는 수정 후 즉시 꽃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아름다운 봄꽃을 오랫동안 보려는 의도에서 우리 주변에는 암술이 짧은 꽃을 가진 개나리를 주로 심고 있다고 한다. 우리 주변 대부분의 개나리는 암술이 짧은 꽃을 가진 개체들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열매를 관찰하기 어렵다고 한다. 자료출처/산림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