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회화작품 전시

 불교회화 작품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불교회화전은 불교의 가르침을 표현한 작품으로, 좁은 의미로는 법당에 걸어놓고 기도하기 위한 부처와 보살 그림을 일컫지만 정전의 내용을 설명적으로 나타낸 그림과 법당의 내외부를 장식하는 그림도 넓은 의미에서 불화라고 할 수 있다. 

부처와 보살 나한 또는 여리 신을 그린 그림은 예배용 불화에 해당이 된다.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여러 보살과 인물을 표현한 영산회상도, 수행자의 모습을 그린 나한도, 불법신을 묘사한 신중도 등이 있다. 이외에 법당을 엄숙하고 위엄 있게 용 그림이나 연꽃그림들도 불화로 감상하기에 손색이 없을 것이다. 


나무로된 화석
나무화석 규화목
오랜 세월을 지내오면서 단단한 돌로 변한 규화목 이다.

산신과 호랑이(1)
산신도
조선 19~20세기

산신을 중심으로 호랑이와 산신을 모시는 동자를 표현한 작품

산신과 호랑이(2)
산신도
대한제국 1905년

사찰의 산신각, 삼성각에 봉안된 산신도로, 1909년 공주 갑사에서 조성한 작품으로, 갑사는 마곡사와 더불어 충청지역의 화승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던 사찰로 알려져 있다.

 

 

불화 독성도
독성도
홀로 수행 깨달음을 얻은 독성존자
1924년 일제 강점기

독성은 홀로 수행을 하여 깨달은 성자를 의미하며 나반존자라고도 부른다.

별을 형상화한 칠성도
치성광여래와 북두칠성
칠성도 조선후기 작품

도교에서 별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고 길흉화복을 담당한다. 가장 박은 빛을 자랑하는 북극성을 치성광 여래로 형상화되었고, 북두칠성은 일곱 여래로 여겨졌다. 칠성 신앙이 민간신앙과 결합되면서 조선 후기 사찰에는 칠성각이라는 별도의 전각이 세워졌다. 칠성도를 바라보면서 무병장수와 복을 구하고, 재난과 어려움에서 벗어니기를 기원하였다.
 

동쪽을 지키는 사천왕
동쪽을 지키는 사천왕(동방 지국천왕)
사천왕도 조선시대 19~20세기 작품

시퍼렇게 날이 선 칼을 꺼내잡고 의자에 걸터앉아 매서운 눈빛으로 바라보고 있다.

남쪽을 지키는 사천왕
서쪽을 지키는 사천왕(남반 증장천왕)
사천왕도 조선시대 19~20세기 작품

남장 증장천왕은 칼을 든 모습과는 달리 용을 움켜쥐고 여의주를 들고 있다. 사찰의 사천왕을 바라보며, 질병, 기근 등을 비롯 각종 재앙에서 보호받기를 소망하였다.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 
신중도 조선시대 1852년 작품

신중은 부처의 가르치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이다. 인간들에게 신중은 해로운 재앙을 없애주고, 나라를 지키며 수명을 늘려주는 존재였다.

홀로 깨달음을 얻은 독성존자
홀로 수행 깨달음을 얻은 독성존자

산신과 호랑이(3)
산신과 호랑이
산신도 조선 19~20세기 작품

독성존자 독성도
홀로 수행 깨달음을 얻은 독성존자
독성도 조선 19~20세기 작품

불교회화 전시관
불교회회 전시관

산신과 호랑이의 산신도와 치성광 여래와 북두칠성, 독성도, 신중 도등 불교 관련 작품을 감상해 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