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4대 세종대왕 업적
세종대왕의 민본정치
King Seojong: Ruler for the People
제 4대 임금 세종(世宗) 대왕 (재위 기간 1418~ 1450)은 조선시대에 가장 훌륭한 업적을 남긴 임금이다. 그의 업적에는 백성을 근본으로 하는 민본(民本) 사상과 우리 풍토에 맞는 풍물을 만들겠다는 현실 인식이 담겨있다.
세종은 글을 쉽게 쓸 수 있도록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고,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측우기. 물시계, 해시계를 고안했다. 또한 우리나라에 맞는 역법서를 만들고 우리 풍토에 맞는 농벙을 수합했다. 그리고 여론을 조사하여 백성의 부담을 줄 일수 있는 조세정책도 시행하였다.
세종은 신분에 관게없이 인재를 등용하고 신권과 왕권의 조화를 중시했기 때문에 이러한 훌륭한 업적을 세울 수 있었다. 세종은 인사와 군사 분야에서는, 이조와 병조의 직계를 용인하고 나머지는 사하들에게 맡기는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하여, 신하들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한 진정한 힘이 있는 임금이었다.
앙부일구
Hemispherical Sundial
백성과 함께 사용한 해시계
세종 16년 10월, 해시계 앙부일구를 백성이 많이 다니는 한양 종로의 현 광화문 우체국 부근인 혜정교와 종묘의 남쪽 거리에 설치하여 누구나 시간과 계절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해시계 알부일구 (오른쪽 휴대용 해시계)
조선 전기의 조세 제도
Taxation Systr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삼총통
화약 무기 개발
세종은 화약 무기를 개량하는데 관심이 많았다. 이 시기에 여러 총통을 새로 만들어 활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저울추
Weight
저울 정비 및 보급
장흥고, 인수부 분청사기
조. 용. 조 제도에 따라 각 지역에서는 특산물을 관청과 왕실에 납부를 하였는데, 15세기 중반까지 납품을 하였다.
15세기 공납용 자기
을해자와 함께 쓴 한글 금속활자와, 능엄경언해
세조가 번역하고 1461년 간경도감에서 간행하였다. 온전한 불교 경전 중 가장 먼 저 언해한 것으로, 15세기 국어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한다. 능엄경언해는 현재 30여 자 가 남아 있으며,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는 현존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이다.
국조보감
국조보감에 수록된 훈민정음 관련 기록
본받을 만한 역대 임금의 선정을 모아 편찬한 국조보감. 세종 편에 세종의 업적으로 훈민정음 창제 관령 내용을 수록했다.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정음 28자를 창재하여 대략적으로 예의를 게재하여 이를 훈만정음이라 하였다. ~중략~ 쓰고 싶은 말을 표현하지 못할 것이 없고, 어디를 가던지 통하지 못할 것이 없다. 비록 바람소리, 학의 울음소리, 닭 우는 소리, 개 짖는 소리 일지라도 모두 글로 적을 수가 있다.
용비어천가
세종 29년 종이에 목판 인쇄
태조의 4대 조와, 태조, 태종까지 6대의 행적과 조선의 건국 과정 및 관련 설화 등을 담은 징편 서사시이다. 총 12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글로 지은 본문 뒤에 한문으로 주석을 달았다. 한글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지은 글로, 15세기 언어와 문학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세종의 면으로 간행했으며, 권지 등이 편찬에 참여하였다.
한글 창제
백성을 위해 한글을 만들다.
한글 창제 원리
세종은 1443년 한글을 창제하였다. 우리의 말이 중국과 다르다고 인식하고 우리에 맞는 문자를 만든 것이다. 한국은 획기적인 발명품이며, 세계 문자 중 만든 사람과 반포 시기, 찬제 원리를 알 수 있는 유일한 글자이다.
한글의 기본 자음인 ㄱ, ㄴ, ㅁ, ㅅ, ㅇ은 혀, 입술, 치아, 목구명 등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고, 기본 모음인 ., ㅡ, ㅣ는 각각 하늘, 땅, 사람의 모양을 기본으로 만든 것이다. 기본 자음과 모음에 획을 더하거나 글자를 포개어 다른 글자를 만드는 원리는 현대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방식일 것이다. 세종시대는 많은 업적을 남기었으나 그중 가정 위대한 업적은 흔민정음 일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