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생활

조선의 궁중의 왕실 생활상 

국립고궁발물관


경복궁 고궁박물관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왕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다양한 물품에서는 품격 높은 왕실 생활 문화를 느낄 수 있다. 국왕을 비롯한 왕실 가족들을 위해 만든 의복과 음식, 각종 기물들은 당대 최고의 장인에 의해 가장 좋은 재료들로 만들어졌다. 궁중에서는 혼례나 제사 등 왕실의 중요한 의례 핸사를 치르며 왕싱 가족의 일상생활이 행해졌다.


왕실의 복식
조선왕실의 복식

왕실의 복식은 의례용과 일상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례 시 착용하는 복식은 유교의 예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 등 의례의 격식에 맞는 복식을 갖추었다. 의례복 안에 받쳐 입는 속옷이나 일상복은 이전부터 계승되어 온 전통복식으로 일반 사대부 양반의 차림새와 같았다.

 

 

엄격한 규정과 격식에 따라 제작된 궁중 복식이나 잔치상차림 등 의례용 물품이나 일상 생활용 가구, 그릇, 복식, 장신구 등에는 당대 문화의 정수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은 사치를 금하고 국왕이 몸소 검약한 생활을 실천했기 때문에 궁중의 생활 물품에는 눈길을 사로잡는 화려함보다는 우아하면서도 기품 있는 아름다움이 깃들어 있다. 또한 왕실의 엄격한 법도와 예절에 따라 재료와 색상, 그리고 장식문양에 차이를 두었다.

궁궐 침전 공간

왕실의 침실
궁궐 내부 침전 공간

침실 평면도
궁궐 침전 평면의 표준형

조선시대 궁궐의 왕과 왕비의 침전은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이 배치되고, 그 주변으로는 퇴가 둘러싸고 있다. 내부 위 방들은 장지문으로 연결해 가변적으로 사용하였다.


침전 통명정
경복궁의 교태전, 경복궁의 교태전, 창경궁의 통명전

수라간

궁궐 내 음식을 조리하는 주방 공간으로는 수라간, 소주방, 생물방이 있다. 대전, 중전, 대비전, 세자빈 전 등 각 전각마다 주방 상궁이 딸려서 각각 음식을 만들었다. 수라간은 왕과 왕비에게 올리는 진지(수라)를 짓는 주방이라는 뜻으로 어주라고도 하며 소주방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소주방은 내. 외 소주방으로 나뉘는데, 내소주방에서는 주로 아침, 저녁으로 올릴 수라를, 외소주방에서는 각종 잔치음식을 담당했다. 생물 방 은 생과방 이라고도 하며 음료와 과자를 만드는 일을 담당했다.


수라상

수라상

조선시대 왕의 밥상인 수라상 은 각 지방에서 올라온 좋은 재료를 사용해 최고의 맛과 모양을 낸 음식들로 차려졌다. 수라상 상차림은 밥과 탕을 포함한 기본 음식과 12가지 반찬으로 구성된 12첩 반상으로 이루어졌다. 12첩 반상은 왕실만을 위한 것으로 일반 반가에서는 차릴 수가 없었다.

왕의 수라상은 기본적으로 3개의 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왕의 앞에 놓이는 대형의 둥근 밥상(대원반, 大圓盤)이고, 다른 하나는 음식에 독이 들었는지 검사하는 기미상궁 앞에 놓이는 소형의 둥근 밥상(소원반, 小圓盤)이며, 나머지 하나는 왕의 식사를 시중드는 수라 상궁 앞에 놓이는 네모난 책상번(冊床盤)이다.


왕실 칠기함

①칠기합 왕실에서 사용하는 칠기합으로 뚜껑의 상단에는 왕을 상징하는  용과 봉황 문양을, 옆면에는 꽃문양과 나비 자문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을 하였다. ②수라간에서 사용하는 은제 솥 ③붉은 칠 원형 소반: 전체적으로 흑칠을 하고 상판의 증앙에는 주칠을 했다. 신사년인 18981년 대전 곳간으로 납품된 대, 중, 소 소반으로 150벌 중 하나이다. ④붉은 칠 합: 왕실에서 사용하던 목재 붉은 칠 합이다. 주칠 을 하고 뚜껑 상단에는 금색의 용으로 장식을 했다. 주칠 은 일반 사가에서는 사용을 규제할 정도로 귀하게 여겨졌으며, 주로 왕실에서 사용하였다.

왕실 그릇
왕실에서 사용한 그릇

왕실에서는 일상생활에서나 잔치, 제사 등의 행사에 다양한 재질로 만든 고급 식기를 사용하였다. 도자는 왕실의 검소한 기풍에 따라 일찍부터 선호되었으며, 15세기 후반부터는 경기도 광주지역에 관영 도자기 제작서인 사옹원의 분원을 설치해  잔치용 예기와 제기, 생활용기를 만들었다. 그릇 표면에 코발트 계열의 청색 안료로 그림을 그려 구워낸 청화백자는 궁중 도화서 소속의 화원들이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다.

은제그 릇은 왕실 가족의 주발이나 술잔 등 식사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지만, 계속된 금와 은의 질용 정책으로 인하여, 주로 행사용으로 만들었다. 광물을 원료로 해서 만든 유리질에 유약을 입혀 화려하게 장식한 법랑 그릇들은 청나라로부터 들여와 장식용으로 사용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