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불상

국보(보믈)급 불상(佛象) 감상


문화유산

국립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우리의 문화유산 삼국시대 불상을 감상해 보았다.

부처
부처

우리나라에 불상이 처음으로 소개된 때는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4세기 후반으로 본격적으로 불상을 만들기 시작한 것은 6세기부터 라고 하는데, 불상 제작 초기에는 단순하게 중국의 것을 모방하는 수준이었지만, 점점 우리나라 특유의 조형감각이 두그러진 불상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삼국시대 고구려 불상이 사실적인 인체 표현보다 강건한 기상을 강조하였다면, 백제의 불상은 정교함과 세련미가. 돋보이며, 신라의 불상에는 소박한 아름다움이 있다. 통일신라 불상은 삼국시대 불상의 특징을 하나로 아우르는 한편, 8세기에는 중국 당나라의 사실적인 작가 양식을 받아들여 조화와 균형을 이룬 이상적인 불상을 만들었다. 

비로자나불
비로자나불


9세기부터는 중궁의 영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불상을 만득기 시작한 시기 아다.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유행하지 않았던,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도를 깨닫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손갖춤인 향마촉지인을 한 불상이나, 곧추세운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싼 손갖춤인 지권인을 한 비로자나불이 유행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새 왕조의 활력을 반영한 거대한 불상과 지역별로 특색있는 불상을 만들었다. 고려 후기에는 중국 원나라릐 영향을 받은 불상을 만들기도 하였다.

불상 부처
부처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누르던 정책을 펴던 시기이다. 그러나 초기에는 왕실이나 상류계층에서도 불상 제작을 지원하였으나, 조선 후기에는 여성과 지역민의 후원아래 전국 각지에서 승려 조각가들이 집단을 이루어 불상을 제작하였다.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에서는 삼국시대에서부터~ 조선시대까지 대표적인 불상과 보살상을  시대별, 주제별로 전시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쇠와 돌로 만든 대형 불상, 국보로 지정된  반가사유상와 금동으로 만든 작은 불상들을 통하여 우리나라 불교조각의 특징과 아름다움을 감삼 할 좋은 기회이다.

미륵 아미타불
감산사 미륵보살과 아미타불 국보 81호, 82호

두 불상은 경주 감산사 터에서 옮겨온 것으로, 광배 뒷면에는 이 불상을 만든 사람, 만든 목적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명문에 따르면, 집시부시랑이 김부성이 부모의 은혜와 나라의 은덕 보답하고자 성덕왕 18년(719)에 만들기 시작한 아미타불과 미륵보살이다.  성덕왕 19년(720)에 김부성이 죽자 명복을 비는 내용도 새겨져 있다. 통일신라 8세기 전반 석조 조각의 수준을 보여주는 빼어닌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약사불
신라 9세기 약사불

이 불상은 원래 경주 남산 삼릉곡 정상 가까이에 있는 마애 대불 건너편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으로, 약사불은 질병을 고쳐주고, 재난에서 구해주며, 음식과 옷을 주는 부처로 왼손에는 약단지를 들고 있다.

자비스러움 부처
부처

부처 손갖춤

ㅇ좌부터 ①아미타불이 구등급으로 나누어 구제한다는 아미타 구품인 ②진리의 수레바퀴를 굴린다는 뜻의 전법륜인 ③석가모니불이 온갖 번뇌를 물리치고 도를 깨닫는 순간에 짓던 손갖춤인 항마촉지인 ④참선할 때 짓는 손갖춤으로 부처가 취할 수 있는 선정인 ⑤비로자나불이 짓는 손갖춤으로, 이치와 지혜, 중생과 부처, 미흑함과 깨닮음은 본리 하나라는 지권인 ⑥어떠한 두려움 도 없애주고, 어떤 소원도 다 들어준다는 뜻으로 모든 부처가 취할 수 있는 시무외인. 여원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