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지정된 관아건축 보물 목록 자료출처/문화재청 서울의 유형문화재인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대구 유형문화재 대구 경상감영, 등 관아( 官衙) 문화재 서울, 대구, 전라, 경남 각각 1건, 경기 3건, 강원 2건 등 총 8건의 관아( 官衙) 건축물을 국가지정 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팜고로 현재 국보및 보물로 저정 되어있는 관아 건축 총 5건으로 모두 객사 건물이다. 관아건축이란 왕조시대 관원들이 모여 나랏일을 다스리기 위해 지은 건축물로, 중앙집중의 행정체제가 마련된 조선 시대의 지방 행정도시에는 동헌을 중심으로 관아건축이 전국적으로 건립되어 그 수효가 상당하였지만, 현재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새로 지정되는 보물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 남한산성 서쪽의 청량산 정상에 성의 안팎을 모두 굽어 볼 수 있는 군사적 요충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한산성의 축조 때부터 성내를 지휘하는 장대 역할을 하고 있었다. 영조 27년 1751년에 중층의 장대를 건축하고, 안에는 무망루, 밖에는 서장대라 편액 하였고, 현재의 건물은 1836년(헌종 1년) 재건된 것으로, 이때 지금의 ‘수어장대’란 현판을 써서 달았다. 새로 지정되는 보물 남한산성 연무관(演武館) 「남한산성 연무관」은 남한산성을 수축(修築)하던 시기인 인조 3년인 1625년에 창건되어, 그 직후 1626년에 창설된 중앙 군영인 수어청의 중심 건물로, 정조 19년인 1795년에 수어청의 본영이자 광주유수의 집무처로 사용되었다. 창건 이래 세 번에 걸쳐 중수의 기록을 상량 묵서와 상량문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편액에 있는 연기(年紀)는 영조 38년 1762년의 것이다. 연병장을 바라보는 높은 위치에 건립한 연무관은 정면 5칸, 옆면 4칸으로 정면과 배면에 퇴칸을 두고 있으며. 중앙부에서 기둥을 뒷면으로 이주하고 벽을 세워 국왕이나 수어사가 자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새로 지정되는 보물 종친부 경근당(敬近堂}과 옥첩당(玉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