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줄기가 검은 대나무 오죽

이미지
  늘푸른   검은 대나무 오죽(烏竹) 볏과에 속하는 검은 대나무 오족( 烏竹)은 줄기가 까마귀처럼 검은색 줄기를 가지고 있어 까마귀 오(( 烏) 자를 넣어 오죽이라 부르는가 보다. 꽃을 피우기에는 오랜 세월을 기다려야 하기에 꽃말도 "인내" 라 한다. 오죽(烏竹) 학  명: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분   류: 벼과 Poaceae 형   태: 상록 활엽교목 줄   기: 지름 2~5ccm 정도이며, 줄기는 처음 녹색에서 잠차 자라면서 흑색으로 반한다. 중부 이남에 분포하며, 10m 이상 자란다. 오죽(烏竹) 오죽(烏竹) 오죽의 줄기는 어릴 적에는 일반 대나무와 같이 녹색을 띠지만, 2자라면서 자흑색으로 변해간다. 오죽의 꽃은 60년 주기로 핀다고 한다. 오죽은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은후에는 매말라 죽는다고 한다. 오죽은 관상용, 죽세공의 재료로 쓰인다 .

경복궁 발굴복원 30주년 기념 특별전시

이미지
경복궁 기념전  고궁연화(古宮年華) 경복궁 고궁박물관 경복궁은 조선의 으뜸 궁궐로, 태조 3년인 1394년 짓기 시작하여, 1395녕에 완공한, 당대 최고의 기술력을 동원하여 지은 건축적 집약체이다. 임진왜란 때 파괴 방치된 것을 고종 대에 중건한것을,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대부분 훼손되었다. 궁능 유적 본부는 1990년부터 경복궁 발굴조사와 정비 복원을 진행, 30여 년의 노력을 통해 고중 대 경복궁 규모의 30%에 가까운 영역을 되찾았다. 고궁박물관 특별전 고궁박물관 특별전 고궁연화 고궁박물관 특별전 고종때 건립된 전각 흥복전도 대부분 호ㅞ손 되었다. 일제는 흥복전 자리를 파 연못을 만들고 일본식 정원을 조성하여 정원으로 사용하였다. 고궁박물관 특별전 일제 강점기때 경복궁은 많이 훼손되었다. 왕이 살던 최고의 궁궐은 훼손되어 잃게 되었다. 고궁박물관 특별전 소주방지에서 출토된 유물, 소지방지에서는 다양한 토기, 청화백자, 도자기, 금속류가 출토 되었는데, 철제유물은 대분분 건축자재이며, 청동제 유물은 생활용구가 대부분이다.   고궁박물관 특별전 궁중 소주방에서 사용한 백자 고궁박물관 특별전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의 궁궐 밤하늘     고궁박물관 특별전 고궁박물관 특별전 3D 영상실 고궁박물관 특별전/동영상 고궁박물관 특별전 일제시대/시정 5주년 기념 조선물산 공진회 안내서 고궁박물관 특별전 좌측은 조선시대 경복궁 육조거리와, 우측의 일제 강점기 시절의 경복궁 육조거리로, 조선총독부 철거 당시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자 1996년 제작된 비교 모형도이다. 경복궁의 풰철이 가장 극심했던 일제 강점기 1945년 해방 직전의 경복궁과 육조거리 모습을 재현해 놓은 것으로 경복궁 고궁발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전국 8건의 관아건축 보물로 지장

이미지
새로 지정된 관아건축 보물 목록 자료출처/문화재청 서울의 유형문화재인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대구 유형문화재 대구 경상감영, 등 관아( 官衙)  문화재 서울, 대구, 전라, 경남 각각 1건, 경기 3건, 강원 2건 등 총 8건의 관아( 官衙) 건축물을 국가지정 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팜고로 현재 국보및 보물로 저정 되어있는 관아 건축 총 5건으로 모두 객사 건물이다. 관아건축이란 왕조시대 관원들이 모여 나랏일을 다스리기 위해 지은 건축물로, 중앙집중의 행정체제가 마련된 조선 시대의 지방 행정도시에는 동헌을 중심으로  관아건축이 전국적으로 건립되어 그 수효가 상당하였지만, 현재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새로 지정되는 보물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 남한산성 서쪽의 청량산 정상에 성의 안팎을 모두 굽어 볼 수 있는 군사적 요충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한산성의 축조 때부터 성내를 지휘하는 장대 역할을 하고 있었다. 영조 27년 1751년에 중층의 장대를 건축하고, 안에는 무망루, 밖에는 서장대라 편액 하였고, 현재의 건물은 1836년(헌종 1년) 재건된 것으로, 이때 지금의 ‘수어장대’란 현판을 써서 달았다.  새로 지정되는 보물 남한산성 연무관(演武館) 「남한산성 연무관」은 남한산성을 수축(修築)하던 시기인 인조 3년인 1625년에 창건되어, 그 직후 1626년에 창설된 중앙 군영인 수어청의 중심 건물로, 정조 19년인 1795년에 수어청의 본영이자 광주유수의 집무처로 사용되었다.  창건 이래 세 번에 걸쳐 중수의 기록을 상량 묵서와 상량문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편액에 있는 연기(年紀)는 영조 38년 1762년의 것이다. 연병장을 바라보는 높은 위치에 건립한 연무관은 정면 5칸, 옆면 4칸으로 정면과 배면에 퇴칸을 두고 있으며. 중앙부에서 기둥을 뒷면으로 이주하고 벽을 세워 국왕이나 수어사가 자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새로 지정되는 보물 종친부 경근당(敬近堂}과 옥첩당(玉牒堂) 조선 시대 관공서 중 최고 등급인 정

국보 제24호 토함산 자락 석굴암

이미지
  위대한 세계유산 경주 석굴암 국보 제24호 세계문화유산 경주 토함산 자락 석굴암(石窟庵) 통일신라시대 불상은 통일 이전 토착적인 신라의 불상 양식을 기반으로 백제와 고구려의 조각 양식을 흡수하는 한편, 당나라 양식을 받아들이면서 통일신라 만의 독자적인 양식으로 성립했다.  통일신라 불상 중 가장 완성된 예가 8세기 중엽 경  토함산 중턱 석굴암 본존불이며, 이 시기를 정점으로 통일신라의 불상조각은 최고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이후 신라 사회의 모순과 선종의 유행으로 약사불과 바로자나불 이 등장하며, 금동불이 줄어들고 철불이라는 새로운 새로운 불상이 유행하였다. 철조 바로자나불 좌상 鐵造 毘盧遮那佛 坐像 바로자나불은 온 누리에 가득찬 진리의 빛을 형상화한 부처님이다. 우리나라에 바로자나불은 9세기에 크게 유행 하였는데, 중국과 일보과 달리 여래(如來)모습으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단정한 얼굴, 안정감 있는 자세, 표면에 이음매가 보이지 않는 뛰어난 주조 기술 등에서 통일신라 불상의 모습이 엿보인다. 그러나 형식화된 옷주름 등 세부 표현에서는 사실성이 떨어지는 고려 철불의 특징도 함께 나타나고 있어,통일신라말 고려초에 제작된 불상으로 보인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위대한 문화유산 토함산 석굴암에 대해 알아보자.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통일신라의 시대의 흔적을 전시하고 있다. 토함산 중턱 석굴암은 학창 시절 수학여행때의 기억을 되살려본다.  석굴암 석굴암은 통일신라 751년 경덕왕 10년에, 김대성이 창건 시작하여, 774년 혜공왕 10년에 완성한 석조물로, 당시에는 석불사라 불렀다고 한다. 석굴의 고요한 모습은 신비스러움과, 깊고 숭고한 마음을 간직한 자비로운 보습으로, 중생들에게 다가가는 듯하다. 석굴암 앞에서 본존불을 바라보면 이마의 백호와 광배 중앙이 일치하고 있다. 석굴암 신라인의 오랜 꿈은 이승에 부처님의 나라를 실현하는 것이었다. 신라인 들은 자신들의 나라가 바로 부처님의 나라라고 믿었다. 신라 경덕왕은 재위 기간 중 불교의

삼국시대 불상 2점의 국보 반가사유상

이미지
  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국보 78호, 83호 삼국시대 6~8세기 전반에 제작한 반가사유상 2점을 나란히 국립 중앙박물관 상설 전시관 2층 사유의 방에서 현재 전시 중에 있다.  반가사유상이란 명칭은 상(像)의 자세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반가는 양쪽 발을 각각 다른 쪽 다리에 엇갈리게 얹어 앉은 결가부좌에서 한쪽 다리를 내려뜨린 자세를 말한다. 사유(思惟)는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깊은 생각에 잠긴 상태를 나타낸다.  반기의 자세로 한 손을 빰에 살짝 대고 깊은 생각에 잠긴 불상을 반가사유상이라고 부른다. 석가모니는 태자 시절부터 인간의 생로병사를 깊이, 고뇌했고, 출가를 결심하는 인생의 갈림길에서도 깊은 생각을 거듭했다.     반가사유상은 이처럼 깊은 생각에 빠진 석가모니의 모습이면서, 깨달음을 잠시 미루고 있는 수행자와 보살의 모습이기도 하다. 반가의 자세는 멈춤과 나아감을 거듭하며 깨달음에 이르는 움직임 가운데 있다. 한쪽 다리를 내려 가부좌를 풀려는 것인지, 다리를 올려 가부좌를 틀고 명상에 들어갈 것인지를 알기 어렵다.  그래서 반가의 자세는 수행과 번민이 맞닿거나 엇갈리는 순간을 보여준다. 살짝 다문 입가에 잔잔히 번진 미소는 깊은 생각 끝에  도달하는 영원한 깨달음의 찰나를 그려 보게 한다. 이 찰나의 미소에 우리의 수많은 번민과 생각이 녹아들어 있다. 동양의 불상과 반가사유상 한국, 일본, 중국, 인도의 불상과 반가사유상 비교

조선시대 장승업화가의 10폭 병풍감상

이미지
  화조영모도 10폭 병풍 화조영모도 花鳥翎毛圖 19세기 말 장승업 작품 국립 중앙박물관 전시 화조영모도 10폭 병풍 꽃, 나무, 새, 물고기 등 다양한 화목의 그림을 함께 묶은 병풍으로, 먹과 담채를 붓에 흠뻑 적셔 그린 거리낌 없는 그림솜씨가 돋보인다. 화조영모도 제6~10폭 나무와 바위는 거친 필치로 그린 반면 모란, 장미, 수선화와 같은 꽃은 윤곽선을 그리고 채색했다. 장승업은 19세기 말 활동했던 화가로 생애의 많은 부분이 알려지지 않았다. 화조영모도 제1~5폭 장승업은 품성이 호방하고 다방면의 그림이 뛰어났으며 한때 궁중에서도 활동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 시안 코로나확진으로 도시 봉쇄

이미지
  중국 산시성 시안 외출금지령 시안 코로나19 확진자 143명 발생 중국 산시성 1,300만 명의 도시 시안에서는 최근 코로나 확진자가 143명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자 12월 23일부터 외출금지령이 내려졌다. 시안에서 다른 도시로 연결되는 시외버스 운행을 중단시키는 등, 사실상 시안 도시 전체를 봉쇄시켰다. 각 가정에서는 이틀에 1번 생필품 구입하기 위한 외출만을 허용한다고 한다. 중국 시안 통제 외출금지령 중국 코로나 제로정책으로, 내년 1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열리기 때문에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지역에는 강력한 조치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안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비상 삼성전자 시안공장 시안에는 삼성전자 낸드플래시를 생산하는 대규모 공장이 있다. 중극 서부 거대도시가 전격 봉쇄에 들어가자 삼성 시안 반도체 공장에도 비상이 걸렸다. 단 1초도 중단할 수 없는 반도체 공장으로, 현재는 정상가동 중이라고 한다. 시안에서 생산하는 낸드플래시는 년간 25만 장 규모로, 이는 삼전전자 전체 내드플래시 생산능력의 절반에 해당하는 량으로, 봉쇄조치가 길어진다면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주식시세 삼성전자 12월 24일 주식시세 /이미지 출처 다음 주식시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있는 중국 산시성 "시안 봉쇄령"에도, 주가는 종가 는 600원이 오른 80,500원으로 팔 만원을 돌파 하였다. 중국 시안 봉쇄령은 악재일 수도 있는데, 주식시장에서는 별 이상반을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듯싶다.

남양주 다산동 선사시대 고인돌공원

이미지
다산 고인돌 공원 남양주 다산동 역사공원 내에 있는 선사시대 고인돌공원은, 다산 신도시 개발사업에 따른 문화재 발굴조사 결과, 다산 신도시 내에는 신석기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형태의 유적이 확인되었다. 그중 에서 완벽하게 남아있는 학술 가치가 높은 삼국시대 돌무덤 방 2기와 고려시대 돌 덧 무덤 2기를 고인돌 공원으로 이전 복원해 놓았다. 고인돌 공원 우리의 역사 선사시대의 삶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남아있는 유물을 통해 그 모습을 엇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유물은 바로 청동기 새대의 고인돌일 것이다. 고인돌은 주로 청동기시대에 만들어졌는데,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인돌 공원 구덩이를 파고 그 속에 받침돌을 세운 후 받침돌이 파묻힐 만큼 흙으로 언덕을 만든 후, 고인돌을 완성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고인돌 공원 고인돌 운반에는 많은 인력이 동원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200Ton이 넘는 돌을 끈, 지렛대, 통나무 바퀴등을 이용해 운반하였다. 고인돌 공원 체험마당 거대한 돌을 채석하고, 다듬어 운반 고인돌을 완성하는 체험마당 고인돌 공원 삼국시대 돌무덤 방(石室墓), 고려시대 돌 덧 무덤 2기, 석관묘, 석실묘 고인돌 공원 석관묘, 석실묘 발굴 이전 전시 고인돌 공원 수크렁 언덕 고인돌 공원 수크렁 숲 고인돌 공원 둘레길     고인돌 공원 구릉 언덕 위에 있는 고인돌 지석묘 문화재자료 제80호 고인돌 공원 가운동 지석묘 안내 고인돌 공원 가운동  고인돌 지석묘 고인돌 공원 둘레길 고인돌 공원 전망대 고인돌 공원 전망대 주변 다산 신도시